'박근혜 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주요 권력기관장 '빅5'의 운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빅5'는 감사원장, 국가정보원장, 국세청장, 검찰총장, 경찰청장을 말한다. 새 정권 탄생과 함께 이들이 물러나고 대통령의 측근이 배치되는 그간의 관례가 깨질지 주목된다.

◆ '4대강 사업' 감사 감사원장 거취는?

최근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 감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정부와 충돌하는 모습을 연출했던 양건 감사원장의 거취는 초미의 관심사다.

감사원장은 '빅5' 중 유일하게 헌법이 규정한 기관으로 4년 임기도 보장된다. 2011년 3월 취임한 양 원장이 임기를 채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박 당선인이 그간 헌법 정신을 강조한 점도 양 원장의 유임설에 힘을 보태고 있다.

하지만 양 원장이 새 정부의 국정 운영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는 차원에서 조기 사직할 가능성도 있다. 노무현 정부 시절의 전윤철 전 감사원장이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2008년 5월 조기 퇴진한 사례도 있다.

양 원장이 물러날 경우 안대희 전 대법관이 차기 감사원장으로 유력할 것으로 점쳐진다. 새누리당 대선캠프에서 정치쇄신특위 위원장을 맡으며 당선인의 개혁 의지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다는 평가다.

◆ 원세훈 국정원장 교체 유력

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은 교체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국정원장은 임기가 없지만 원 원장은 다음달이면 재임 기간이 4년이나 된다. 게다가 그는 대표적인 '이명박 대통령 맨'이란 점에서 교체에 무게가 실린다.

박 당선인의 측근 인사 중에선 김장수 대통령직인수위 외교국방통일분과 간사, 안기부 2차장 출신인 이병기 여의도연구소 상임고문, 국정원 2차장을 지낸 김회선 의원 등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다만 전문성을 중시하는 박 당선인의 스타일을 고려할 때 국정원 내부 승진 또는 국정원 출신자 발탁 가능성도 있다. 민병환 전 국정원 2차장, 한기범 전 국정원 3차장, 차문희 국정원 2차장 등이 거론된다.

◆ 국세청장도 교체 가능성…'세수 확보'에 중점

2010년 8월 취임해 2년5개월째 재임 중인 이현동 국세청장도 교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내부승진설이 지배적이다.

박 당선인의 복지 공약 실현을 위해 세수 확보의 중요성이 커져 국세 행정의 전문성을 갖춘 인사가 발탁돼야 한다는 것. 후보로는 박윤준 본청 차장, 조현관 서울국세청장, 김은호 부산국세청장, 김덕중 중부국세청장 등 1급 4명이 거론된다.

일각에선 박 당선인이 정권 초기에 무리하게 교체를 감행하지 않고, 세수 확보의 진도를 감안해 교체 시기를 정할 것이란 전망도 내놓고 있다.

◆ '공석' 검찰총장 인선중

검찰총장은 지난해 한상대 전 총장이 물러난 뒤 공석으로 남아있는 상태다.

현재 검찰총장후보추천위가 가동되고 있는 가운데 검찰 안팎에선 '현직 고검장(연수원 14∼15기)'에서 총장 제청 대상자가 나올 것이란 분위기가 우세하다. 그러나 박 당선인이 그동안 강력한 검찰 개혁 의지를 피력해왔기 때문에 외부 인사의 발탁 가능성도 남아 있다.

추천위는 제청 대상자를 검증한 뒤 3명 이상의 후보자를 법무부장관에게 추천하고, 장관은 이 가운데 1명을 대통령에게 제청하게 된다.

◆ 경찰청장 임기 지킬까

김기용 경찰청장은 교체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박 당선인이 후보 시절 경찰청장의 임기 보장을 약속한 바 있기 때문이다. 경찰청장의 임기는 2년으로 김 청장은 지난 5월 취임했다.

다만 정권 초기 경찰 수장은 바뀌는 게 일반적이었다는 점에서 상황이 변할 가능성도 있다. 김 청장이 교체된다면 법적으로 후보가 될 수 있는 이는 김용판 서울경찰청장, 강경량 경기경찰청장, 서천호 경찰대학장, 이성한 부산경찰청장 등 4명이다.

한경닷컴 뉴스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