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취업자가 20대보다 많아졌다. 우리나라 고용시장이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는 얘기다.

28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남자 취업자 중 60세 이상은 180만2000명으로 2011년(169만5000명)보다 10만7000명(6.3%)이나 증가했다. 반면 20대는 172만3000명으로 전년(173만4000명)보다 1만1000명(0.6%) 줄었다.

남자 취업자 중 환갑을 넘긴 연령층이 20대보다 많아진 것은 통계를 낸 이래 처음이다. 취업자 비중은 40대(27.3%)-30대(25.3%)-50대(22.2%)-60세이상(12.5%)-20대(12.0%)-10대(0.7%) 순으로 20대가 사실상 꼴찌다.

50년 전인 1963년만 해도 연령별 비중은 20대(26.0%)-30대(25.7%)-40대(20.2%)-50대(12.5%)-10대(10.9%)-60세이상(4.7%) 순이었다.

여자 취업자에서도 연령별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지난해 여성 취업자 중 50대는 215만6000명으로 전년(205만1000명)보다 10만5000명(5.1%) 늘어 처음으로 30대를 앞섰다. 30대는 전년(210만명)보다 1만4000명(0.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같은 역전 현상은 저출산에 따라 20대 인구는 줄고 고령 인구는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10년 전인 2002년 전체 인구에서 20대 비중은 16.9%였지만 지난해에는 13.6%로 3.3%포인트 하락했다. 60세 이상은 11.9%에서 16.5%로 4.6%포인트 상승했다.

경기 침체로 취업이 어려워진 20대가 스펙 쌓기를 위해 고용시장 밖으로 벗어난 것도 20대 취업자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