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부처간 공간정보를 활용한 공동 협력사업 발굴에 나선다.

국토해양부는 29일 경기 안양시 관양동 국토연구원에서 ‘공간정보 관리기관 협의회’를 개최하고 정부 부처가 보유한 공간정보와 행정정보를 융합, 공동 협력사업 추진방안을 논의한다고 28일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국토부 국방부 통계청 기상청 등으로 구성된 공간정보 관리기관 협의회를 정식 발족한 데 이어 각 기관이 보유한 정보를 활용해 공동 협력사업을 추진키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이들 기관은 육상 해상 기상 등에 대한 다양한 공간정보를 생산·관리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재난재해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체계적인 피해 예방 및 시설물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최대 해일높이, 해수면높이, 강수량, 태풍경로, 도로, 건축물 등의 융합정보를 기반으로 태풍 및 호우 발생 때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추출해내 예방책을 마련하는 방안이다. 또 이 융합정보를 활용해 상습침수지역의 노후 시설·건축물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모니터링 체계도 구축한다.

토지용도 기후 산업통계정보 등의 특성을 분석해 국토정책 및 기업 경영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폭넓게 논의된다. 이와 함께 북극권의 공간정보 구축방안도 논의된다. 북극은 풍부한 지하자원과 항로 이점 등 잠재적 활용 가치가 매우 크지만 개발 필수 자료인 공간정보가 전무한 실정이다. 국토부와 소속기관인 국토지리정보원 극지연구소가 공동으로 북극 지도, 빙하 변화지도, 유빙정보 제공체계 등 북극 개발에 필요한 공간정보를 구축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송석준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국장은 “공간정보관리기관 협의회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실무추진협의회를 개최해 공동협력사업 방안을 좀 더 구체화해나갈 것”이라며 “국민들이 체감하고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공동 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