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건물 준공 즉시 지도에 표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앞으로 새로 개통된 도로나 준공된 건물이 지도에 늦게 표기되는 불편이 사라진다. 스마트폰 등 빠르게 변하는 이용자 환경을 반영해 전자지도가 늘어나고 필요한 데이터를 융합해 사용하기가 쉬워지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 소속 국토지리정보원은 국가기본도의 수정 주기 단축, 신규 전자지도 제작 및 기술 고도화, 다양한 데이터의 융합 등의 내용을 담은 ‘국가기본도 선진화 추진계획’을 수립·확정했다고 29일 발표했다.
국가지리정보의 기본이 되는 국가기본도는 국토 전역에 걸쳐 통일된 축척(5000분의 1)으로 제작된다. 추진 계획에 따르면 기존 2년 주기 수정체계는 변화가 많은 주요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연내 상시 수정체계로 개선된다. 지도 내용도 기존 현장조사 방법을 보강하고 시스템 연계를 통한 빠른 정보수집과 무인항공기 등 신기술을 적용, 신속하게 수정한다. 사용자는 최근 공사가 끝난 도로와 건물을 바로 인터넷에서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직접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국토해양부 소속 국토지리정보원은 국가기본도의 수정 주기 단축, 신규 전자지도 제작 및 기술 고도화, 다양한 데이터의 융합 등의 내용을 담은 ‘국가기본도 선진화 추진계획’을 수립·확정했다고 29일 발표했다.
국가지리정보의 기본이 되는 국가기본도는 국토 전역에 걸쳐 통일된 축척(5000분의 1)으로 제작된다. 추진 계획에 따르면 기존 2년 주기 수정체계는 변화가 많은 주요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연내 상시 수정체계로 개선된다. 지도 내용도 기존 현장조사 방법을 보강하고 시스템 연계를 통한 빠른 정보수집과 무인항공기 등 신기술을 적용, 신속하게 수정한다. 사용자는 최근 공사가 끝난 도로와 건물을 바로 인터넷에서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직접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