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스타일은 도전과 자유…전세계 인재와 돈 몰리는 비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실리콘밸리 혁신의 비밀 (4) 스타트업 키워주는 생태계
SK하이닉스서 인수한 LAMD 허먼 타파 CEO
SK하이닉스서 인수한 LAMD 허먼 타파 CEO
SK하이닉스는 지난해 6월 2억5000만달러(약 2870억원)를 투자해 실리콘밸리의 반도체 설계 회사인 LAMD(Link A Media)를 인수했다. LAMD는 2004년 설립 이후 뛰어난 컨트롤러 기술을 바탕으로 급성장, 2011년 400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창업자인 허먼 타파 최고경영자(CEO·사진)를 지난 14일 새너제이 본사에서 만났다.
▷어떻게 LAMD를 세웠나.
“난 인도인이다. 퍼듀대에서 박사를 딴 뒤 벨연구소와 IBM을 거치며 9년간 일했다. 1994년 회사를 나와 실리콘밸리에서 데이터패스시스템을 세웠다. 2000년 직원 140명의 회사로 키워 LSI로직에 팔았고, 그 회사에서 2004년까지 일했다. 2004년에 나와 LAMD를 설립했다.”
▷퍼듀대는 동부에 있는데, 왜 실리콘밸리로 와서 창업했나.
“스타트업이 성공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게 뛰어난 인재로 팀을 만드는 것이다. 실리콘밸리엔 도전을 즐기고, 창조적 일을 원하는 인재가 많다. 열정적인 인재가 전 세계에서 몰려들고 스탠퍼드 버클리 칼텍 등 좋은 대학도 많다. 고객사들도 몰려 있다. 실리콘밸리의 경영 스타일은 대기업과 다르다. 목표 지향적이고, 수평적이며 상하관계도 강하지 않다. 그저 목표를 위해 팀으로서 일한다. 가장 큰 도전은 더 이상 창조적인 일을 할 게 없는 것이다.”
▷LAMD를 어떻게 키웠나.
“단계별로 벤처캐피털 투자를 받았다. 실리콘밸리의 장점 중 하나다. 좋은 아이디어만 있으면 인큐베이팅과 자금 조달이 쉽다. 이곳의 벤처캐피털은 다른 곳과 달리 좋은 조언을 해준다. 네트워킹, 채용에서도 큰 도움을 받았다. 실리콘밸리의 문화다.”
▷SK하이닉스가 인수했다. 시너지는 나고 있는가.
“우리는 컨트롤러 기술이 있고, 하이닉스는 낸드플래시 메모리에서 세계적인 회사다. 시너지를 확신한다. 하이닉스와 많은 프로젝트를 하고 있지만 운영은 독립적으로 할 계획이다.”
▷한국 회사들이 실리콘밸리에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성공할 것으로 보는가.
“이곳의 경영 문화는 성과 중심적이다. 권한 위임이 많고 자유롭게 일한다. 하지만 그건 성과를 낼 경우에 한한다. 이 같은 문화를 이해한다면 성공할 것이다. 최고경영진이 성과에만 집중하는 게 중요하다.”
새너제이=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어떻게 LAMD를 세웠나.
“난 인도인이다. 퍼듀대에서 박사를 딴 뒤 벨연구소와 IBM을 거치며 9년간 일했다. 1994년 회사를 나와 실리콘밸리에서 데이터패스시스템을 세웠다. 2000년 직원 140명의 회사로 키워 LSI로직에 팔았고, 그 회사에서 2004년까지 일했다. 2004년에 나와 LAMD를 설립했다.”
▷퍼듀대는 동부에 있는데, 왜 실리콘밸리로 와서 창업했나.
“스타트업이 성공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게 뛰어난 인재로 팀을 만드는 것이다. 실리콘밸리엔 도전을 즐기고, 창조적 일을 원하는 인재가 많다. 열정적인 인재가 전 세계에서 몰려들고 스탠퍼드 버클리 칼텍 등 좋은 대학도 많다. 고객사들도 몰려 있다. 실리콘밸리의 경영 스타일은 대기업과 다르다. 목표 지향적이고, 수평적이며 상하관계도 강하지 않다. 그저 목표를 위해 팀으로서 일한다. 가장 큰 도전은 더 이상 창조적인 일을 할 게 없는 것이다.”
▷LAMD를 어떻게 키웠나.
“단계별로 벤처캐피털 투자를 받았다. 실리콘밸리의 장점 중 하나다. 좋은 아이디어만 있으면 인큐베이팅과 자금 조달이 쉽다. 이곳의 벤처캐피털은 다른 곳과 달리 좋은 조언을 해준다. 네트워킹, 채용에서도 큰 도움을 받았다. 실리콘밸리의 문화다.”
▷SK하이닉스가 인수했다. 시너지는 나고 있는가.
“우리는 컨트롤러 기술이 있고, 하이닉스는 낸드플래시 메모리에서 세계적인 회사다. 시너지를 확신한다. 하이닉스와 많은 프로젝트를 하고 있지만 운영은 독립적으로 할 계획이다.”
▷한국 회사들이 실리콘밸리에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성공할 것으로 보는가.
“이곳의 경영 문화는 성과 중심적이다. 권한 위임이 많고 자유롭게 일한다. 하지만 그건 성과를 낼 경우에 한한다. 이 같은 문화를 이해한다면 성공할 것이다. 최고경영진이 성과에만 집중하는 게 중요하다.”
새너제이=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