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앞으로? 하루에 지구 14바퀴 돌며 관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날 발사된 나로호가 31일 오전 3시28분부터 14분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 위치한 국내 지상국과의 최초 교신에 성공했다.
궤도 진입부터 교신까지 모든 것이 정상으로 확인된 나로과학위성은 앞으로 한 달여의 초기 운영을 거쳐 1년간 지구 타원궤도(300×1500 km)를 하루에 14바퀴씩 돌게 된다. 탑재된 이온층 관측센서와 우주 방사선량 측정센서로 우주 환경을 관측한다.
또한 탑재 레이저 반사경으로 나로과학위성의 위성 궤도를 정밀 관측하는 것을 비롯해 △펨토초 레이저 △자세제어용 반작용 휠 △적외선영상센서 △태양전지판 △전개용 힌지 등 우주기초·핵심기술로 개발된 국산 기술의 우주환경 검증을 수행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나로호 발사 성공을 발판으로 우주 개발 전반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갈 계획" 이라며 "그동안 쌓인 발사체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형 발사체 개발을 앞당기고, 다양한 국가 수요를 고려한 위성을 개발해 세계 우주시장에 진입하겠다" 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궤도 진입부터 교신까지 모든 것이 정상으로 확인된 나로과학위성은 앞으로 한 달여의 초기 운영을 거쳐 1년간 지구 타원궤도(300×1500 km)를 하루에 14바퀴씩 돌게 된다. 탑재된 이온층 관측센서와 우주 방사선량 측정센서로 우주 환경을 관측한다.
또한 탑재 레이저 반사경으로 나로과학위성의 위성 궤도를 정밀 관측하는 것을 비롯해 △펨토초 레이저 △자세제어용 반작용 휠 △적외선영상센서 △태양전지판 △전개용 힌지 등 우주기초·핵심기술로 개발된 국산 기술의 우주환경 검증을 수행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나로호 발사 성공을 발판으로 우주 개발 전반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갈 계획" 이라며 "그동안 쌓인 발사체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형 발사체 개발을 앞당기고, 다양한 국가 수요를 고려한 위성을 개발해 세계 우주시장에 진입하겠다" 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