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주택 매매가 0.26% 하락, 전세가는 0.2% 상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 주택 가격이 이달에도 약세를 보인 가운데 수도권이 가장 크게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가격은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이달 전국 주택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는 지난해 12월보다 0.26% 떨어지고, 전세가는 0.2% 상승했다고 31일 발표했다. 주택 매매가 하락이 이어지는 것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취득세 감면 종료 등으로 거래가 감소한 때문이라고 감정원은 분석했다.
주택 매매가는 수도권이 0.54% 하락한 반면 지방은 0.01% 올랐다. 지역별로는 인천이 0.64% 하락하며 내림폭이 가장 컸다. 경기(-0.53%)와 서울(-0.51%)도 많이 떨어졌다. 특히 서울에선 강남구(-1.17%), 도봉구(-0.96%), 양천구(-0.91%) 등이 약세를 주도했다.
지방에서는 세종시의 정부부처 이전 효과와 지방산업단지 이주 수요 등으로 5개월 연속 오름세를 유지했다. 세종시는 0.81% 상승했고, 대구(0.56%) 경북(0.34%) 등도 올랐다.
전세가는 수도권의 경우 강남 재건축 이주와 학군 수요 등으로 5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며 0.19%의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에선 성동구(0.79%), 서초구(0.72%), 송파구(0.68%) 등이 전셋값 상승을 주도했다.
지방 전세가도 6개월 연속 올랐다. 세종(1.34%), 대구(0.63%), 경북(0.44%), 경남(0.37%) 등을 중심으로 올랐다. 전북(-0.28%), 전남(-0.07%), 인천(-0.01%)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전국 주택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59.4%로 작년 12월(59.1%)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57.1%, 지방은 61.5%를 나타냈다. 방송희 감정원 연구위원은 “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가시화하면 매매가 하락세가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세가는 매물 부족으로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한국감정원은 이달 전국 주택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는 지난해 12월보다 0.26% 떨어지고, 전세가는 0.2% 상승했다고 31일 발표했다. 주택 매매가 하락이 이어지는 것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취득세 감면 종료 등으로 거래가 감소한 때문이라고 감정원은 분석했다.
주택 매매가는 수도권이 0.54% 하락한 반면 지방은 0.01% 올랐다. 지역별로는 인천이 0.64% 하락하며 내림폭이 가장 컸다. 경기(-0.53%)와 서울(-0.51%)도 많이 떨어졌다. 특히 서울에선 강남구(-1.17%), 도봉구(-0.96%), 양천구(-0.91%) 등이 약세를 주도했다.
지방에서는 세종시의 정부부처 이전 효과와 지방산업단지 이주 수요 등으로 5개월 연속 오름세를 유지했다. 세종시는 0.81% 상승했고, 대구(0.56%) 경북(0.34%) 등도 올랐다.
전세가는 수도권의 경우 강남 재건축 이주와 학군 수요 등으로 5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며 0.19%의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에선 성동구(0.79%), 서초구(0.72%), 송파구(0.68%) 등이 전셋값 상승을 주도했다.
지방 전세가도 6개월 연속 올랐다. 세종(1.34%), 대구(0.63%), 경북(0.44%), 경남(0.37%) 등을 중심으로 올랐다. 전북(-0.28%), 전남(-0.07%), 인천(-0.01%)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전국 주택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59.4%로 작년 12월(59.1%)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57.1%, 지방은 61.5%를 나타냈다. 방송희 감정원 연구위원은 “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가시화하면 매매가 하락세가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세가는 매물 부족으로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