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5억원 투자한 中 단둥 축구화공장 문닫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천시가 남북 스포츠 교류 사업의 하나로 설립한 중국 단둥 축구화공장이 최근 문을 닫았다.
4일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와 인천유나이티드축구단에 따 르면 이 공장에서 일하던 북한 직원 23명이 지난해 12월 초 북한으로 돌아가면서 공장 가동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공장은 프로축구 시민구단인 인천유나이티드가 자본금 5억원을 투자해 2011년 11월 단둥에 지었으며 북한 근로자들이 수제 축구화를 만들었다. 생산된 축구화는 북한과 물물교환하고 나머지는 중국 내수와 국외 판매하기로 했다. 하지만 남북관계가 개선되지 않아 북한 공급은 이뤄지지 않았고 중국, 미얀마 등에 지금까지 1만3200켤레를 팔았다. 인천유나이티드도 지난해 10월 축구화 1000켤레를 주문했지만 지난달 말까지 200여켤레만 공급받았다. 이와 관련, 인천연대는 “단둥 축국화공장이 부실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남북체육교류협회 관계자는 “공장 문을 닫은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
4일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와 인천유나이티드축구단에 따 르면 이 공장에서 일하던 북한 직원 23명이 지난해 12월 초 북한으로 돌아가면서 공장 가동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공장은 프로축구 시민구단인 인천유나이티드가 자본금 5억원을 투자해 2011년 11월 단둥에 지었으며 북한 근로자들이 수제 축구화를 만들었다. 생산된 축구화는 북한과 물물교환하고 나머지는 중국 내수와 국외 판매하기로 했다. 하지만 남북관계가 개선되지 않아 북한 공급은 이뤄지지 않았고 중국, 미얀마 등에 지금까지 1만3200켤레를 팔았다. 인천유나이티드도 지난해 10월 축구화 1000켤레를 주문했지만 지난달 말까지 200여켤레만 공급받았다. 이와 관련, 인천연대는 “단둥 축국화공장이 부실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남북체육교류협회 관계자는 “공장 문을 닫은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