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일 군 당국에 '돌발사태 방지' 핫라인 요청키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긴급연락체제 '해상연락 메커니즘' 구축 협의 재개 요청
일본이 중국 함정의 사격용 레이더 조준 사건을 계기로 양국 군 당국 간에 핫라인을 구축하자고 요청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7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은 중일 방위 당국간 긴급 연락 체제인 '해상 연락 메커니즘' 구축 협의를 재개하자고 요청할 계획이다.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관방 부장관은 6일 기자회견에서 "이런 시스템을 가동해 돌발 사태가 일어나는 것을 막겠다"고 말했다.
중일 양국은 2011년 7월 차관급 방위 회담시 핫라인을 구축한다는데 의견이 일치했다. 하지만 작년 9월 일본의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국유화를 계기로 세부 협의를 중단했다.
미국도 중국 측의 센카쿠 주변 전투기 투입과 함정간 레이더 조준 등에 대해 중일간 핫라인 구축을 재촉할 예정이다.
미국과 중국은 2001년 남중국해 상공에서 벌어진 양국 전투기 간 접촉 사고를 계기로 2008년 군 수뇌부간 핫라인을 설치했다.
센카쿠 주변 해역에는 미군의 조기경보통제기 AWACS와 조기경계기 E2C도 배치돼 중국 전투기의 동태를 감시하고 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
일본이 중국 함정의 사격용 레이더 조준 사건을 계기로 양국 군 당국 간에 핫라인을 구축하자고 요청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7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은 중일 방위 당국간 긴급 연락 체제인 '해상 연락 메커니즘' 구축 협의를 재개하자고 요청할 계획이다.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관방 부장관은 6일 기자회견에서 "이런 시스템을 가동해 돌발 사태가 일어나는 것을 막겠다"고 말했다.
중일 양국은 2011년 7월 차관급 방위 회담시 핫라인을 구축한다는데 의견이 일치했다. 하지만 작년 9월 일본의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국유화를 계기로 세부 협의를 중단했다.
미국도 중국 측의 센카쿠 주변 전투기 투입과 함정간 레이더 조준 등에 대해 중일간 핫라인 구축을 재촉할 예정이다.
미국과 중국은 2001년 남중국해 상공에서 벌어진 양국 전투기 간 접촉 사고를 계기로 2008년 군 수뇌부간 핫라인을 설치했다.
센카쿠 주변 해역에는 미군의 조기경보통제기 AWACS와 조기경계기 E2C도 배치돼 중국 전투기의 동태를 감시하고 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