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포뮬러원(F1) 드라이버 육성을 향한 도전이 일본에서 첫 시동을 걸었다. 오는 8월 강원도 인제의 인제오토테마파크에서 열리는 일본의 간판 포뮬러 대회인 ‘슈퍼포뮬러’에 출전할 한국인 드라이버를 선발하는 공개 오디션이 후지스피드웨이에서 7일 열렸다. 슈퍼포뮬러는 지난해까지 ‘포뮬러 닛폰’이라는 이름으로 치러진 아시아 최고 수준의 포뮬러 대회로 F1 바로 아래 단계인 F2급이다. 배기량은 3400㏄급 V8엔진을 얹어 최대 출력 600마력, 최고 시속 320㎞를 내는 경주차로 경주를 진행한다. 랄프 슈마허, 페드로 데라 로사 등 이 대회를 거쳐 F1에 진출한 드라이버들이 많을 정도로 수준 높은 대회다.
이날 오디션은 한국인 F1 드라이버 양성을 위한 첫걸음이었다. F1을 3년째 열고 있는 한국에선 제대로 된 포뮬러 대회가 없어 F1 드라이버가 나오기 힘들었다. 하지만 올해 슈퍼포뮬러를 유치한 인제오토피아가 한국 선수를 인제 대회에 출전시키기로 하면서 포뮬러 드라이버 육성에 나섰다. 이를 위해 포뮬러를 타본 경력이 있는 선수들 가운데 최해민(29) 정의철(26) 김동은(21)을 선발해 후지스피드웨이 오디션 경쟁에 참가시켰다. 이 가운데 가장 기록이 좋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선수 한 명을 뽑아 8월 인제 대회에 출전시킬 예정이다.
김도형 인제오토피아 본부장은 “한국 드라이버를 슈퍼포뮬러에 참가시켜야 한국과 아시아 시장에서 흥행을 기대할 수 있다”며 “한국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면 앞으로 지원을 확대해 정상급 포뮬러 선수로 키워내겠다”고 말했다. 슈퍼포뮬러를 주관하는 재팬레이스프로모션(JRP)의 시라이 히로시 대표도 “F1 드라이버가 탄생하려면 F4, F3를 거쳐 최상위인 슈퍼포뮬러에서 성적을 내야 한다”며 “한국에서 이 같은 피라미드를 두텁게 하기 위해 슈퍼포뮬러의 노하우를 제공해 협력하겠다”고 했다.
이날 오디션은 슈퍼포뮬러보다 한 단계 아래인 F3 경주차로 치러졌다. 가장 먼저 테스트에 나선 선수는 미국의 인디카 시리즈의 하위리그에서 활약한 최해민. 테스트 시작 전 JRP와 인제오토피아 관계자들은 긴장한 표정이 역력했다. 이들은 최해민이 4.563㎞의 후지스피드웨이 트랙에서 랩타임(트랙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1분42초68까지 끌어올리자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최해민은 레이스 도중 브레이킹 실수로 코스를 이탈해 아쉬움을 남겼다. 2번 주자로 나선 정의철도 1분43초10의 랩타임을 기록하며 완주했다.
마지막 주자 김동은은 1분53초대의 랩타임으로 첫 바퀴를 돈 뒤 레이스를 거듭하면서 기록을 단축, 1분40초46의 최고 랩타임을 세웠다. 이날 일본 드라이버들의 최고 기록과 비슷하다.
김동은이 테스트를 마치고 돌아오자 인제오토피아 관계자들은 그의 선전을 축하했다. 김동은은 “2006년 포뮬러도요타레이싱스쿨(FTRS)에서 교육을 받다가 실력이 안돼 퇴학당할 정도로 일본에서 실력의 벽을 실감했다”면서도 “만약 슈퍼포뮬러에 출전하게 되면 충분히 준비해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세키아 마사노리 FTRS 교장은 “F3를 처음 타본 선수들이 예상보다 잘 달렸다”며 “레이스 후반 체력이 떨어지는 부분을 보완하면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인제오토피아는 이날 경기 기록과 발전 가능성을 종합해 최종 한 명을 선발, 12일께 발표할 예정이다.
고텐바=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