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카들 '세뱃돈' 얼마가 딱 좋은지 봤더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뱃돈 적정 수준은 과연 얼마일까?
최근 한화생명이 임직원 905명을 대상으로 ‘설 세뱃돈 적정 수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5%가 유치원생부터 초등생까지는 ‘1만 원’이 가장 적절하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은 중학생의 경우 3만 원(41%), 고등학생은 5만 원(38%)이 적당하다고 판단했으며 대학생은 5만 원(46%), 10만 원(28%) 순으로 답했다. ‘안 줘도 된다’는 답변도 일부 있었으며 이는 전체의 14%를 차지했다.
응답자들은 세뱃돈 주기 모호한 경우로 ‘취업준비생 조카가 세배할 때’(22%)를 꼽았고, 자녀의 세뱃돈은 ‘맡아 준다고 하고 대신 관리해준다’(57%)고 밝혔다.
세뱃돈 적정 수준을 접한 네티즌들은 “벌써 명절이 기다려진다”, “세뱃돈 적정 수준? 우리 집이 많이 주는 거였구나…”, “세뱃돈 얼마 줘야 할지 고민했는데 덕분에 해결됐네!”라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이들 중 87%는 ‘결혼해라’, ‘취업해라’, ‘공부 열심히 해라’ 등이 새해 가장 듣기 싫은 말이라고 답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최근 한화생명이 임직원 905명을 대상으로 ‘설 세뱃돈 적정 수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5%가 유치원생부터 초등생까지는 ‘1만 원’이 가장 적절하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은 중학생의 경우 3만 원(41%), 고등학생은 5만 원(38%)이 적당하다고 판단했으며 대학생은 5만 원(46%), 10만 원(28%) 순으로 답했다. ‘안 줘도 된다’는 답변도 일부 있었으며 이는 전체의 14%를 차지했다.
응답자들은 세뱃돈 주기 모호한 경우로 ‘취업준비생 조카가 세배할 때’(22%)를 꼽았고, 자녀의 세뱃돈은 ‘맡아 준다고 하고 대신 관리해준다’(57%)고 밝혔다.
세뱃돈 적정 수준을 접한 네티즌들은 “벌써 명절이 기다려진다”, “세뱃돈 적정 수준? 우리 집이 많이 주는 거였구나…”, “세뱃돈 얼마 줘야 할지 고민했는데 덕분에 해결됐네!”라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이들 중 87%는 ‘결혼해라’, ‘취업해라’, ‘공부 열심히 해라’ 등이 새해 가장 듣기 싫은 말이라고 답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