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의원들이 전한 박근혜 정부에 대한 설 민심은 기대와 우려가 섞여 있었다. 대선 때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을 지지하지 않았던 호남에서도 새 정부 출범에 따른 기대와 성공을 기원하는 목소리가 많았던 반면 꼬인 새 정부 인선 작업에 대해선 정치적 고향인 대구·경북(TK)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박 당선인이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대선 때 지지율보다 낮은 48%에 그친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TK에서 박 당선인 인선 ‘우려’

박 당선인의 낮은 직무 평가는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 실패 등 인사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TK에서도 이런 지적이 나왔다는 게 의원들의 전언이다. 박 당선인은 지난 대선 당시 대구에서 80.1%, 경북지역에서 80.8%를 각각 득표했었다.

이종진 새누리당 의원(대구 달성을)은 11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아직 현 대통령의 임기가 남았으니 당선인 임기가 시작될 때까진 조용히 잘 지켜보자는 의견이 많다”면서도 “국무총리 후보자로 처음 지명된 김용준 인수위원장의 자진사퇴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고 전했다.

장윤석 새누리당 의원(경북 영주)도 “정홍원 전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도 어떻게 될지 걱정하는 분들이 늘었다”며 “더 이상 낙마는 안 되고, 그래서 당선인이 인사를 더 잘 해야 한다는 얘기가 있다”고 했다.

이헌승 새누리당 의원(부산진을)은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가 큰데 인적구성이 마무리되지 않아 걱정이라는 분들이 많다”고 말했다. 민홍철 민주통합당 의원(경남 김해갑)도 “박 당선인을 찍었다는 주민들도 박 당선인이 인사를 너무 홀로 마음대로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고 했다.

◆호남 “새 정부 성공해야”

인사 문제를 제외하면 박근혜 정부에 대한 기대감은 지역과 관계없이 컸다. 특히 문재인 후보에게 몰표를 줬던 호남에서도 새 정부의 성공을 기원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김관영 민주당 의원(전북 군산)은 “민주당 후보를 압도적으로 지지한 지역이지만 박 당선인이 국정을 잘 운영했으면 하는 바람이 크더라”며 “민주당엔 새 정부 출범의 발목을 잡지 말고 새로 태어나라는 목소리가 많았다”고 전했다.

광주 서갑의 박혜자 민주당 의원은 “내가 만난 지역구민들은 박근혜 정부가 잘했으면 한다는 염원을 수차례 강조했다”며 “잘 하면 협조해야 한다는 얘기가 많았다”고 했다.

같은 당 주승용 의원(전남 여수을)은 “민주당의 환골탈태를 주문하는 동시에 새 정부에 대한 기대도 있었다”고 했고, 전남 고흥·보성 출신의 김승남 민주당 의원도 “여야가 협심해서 지난 대선 때 공통으로 내걸었던 복지 공약을 실현시켜 달라는 당부가 많았다”고 전했다.

◆“경제 국민통합 문제 해결해야”

충남 당진 출신의 김동완 새누리당 의원은 “경기가 어렵다는 얘기가 제일 많았다”며 “경제를 살려 달라는 소망과 함께 빈익빈 부익부를 극복하기 위한 경제민주화가 잘 이뤄져 서민들도 잘살 수 있는 경제 구조로 바뀌었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고 말했다. 같은 당 이명수 의원(충남 아산)은 “안보와 경제에 대해 많이 챙겨 달라고 부탁했다”며 “복지확대가 중요한데, 서민이나 농민에게 혜택이 얼마나 올지 걱정을 많이 했다”고 했다.

노웅래 민주당 의원(서울 마포갑)은 “경제 얘기를 제일 많이 했다”며 “부동산 시장이 다 죽었는데, 취득세를 감면해줘 돈이 돌게끔 해줬으면 좋겠다고 얘기했다”고 주문했다.

홍일표 새누리당 의원(인천 남갑) 역시 “경제가 침체돼 있는데 빨리 새 정부가 출범해 이런 부분을 잘 해결해줬으면 좋겠다는 기대감이 컸다”며 “부동산 경기가 잘 안풀려서 어렵다는 얘기도 많이 들었다”고 전했다.

김영우 새누리당 의원(경기 포천·연천)은 “경제를 위한 주문도 많았지만, 북한 핵실험 문제에 대해서도 민감하다. 북한이 자꾸 핵실험 운운하는데, 박 당선인이 현명하게 대처해줬으면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고 했다.

이와 함께 영·호남 의원들은 “새 정부에선 탕평인사를 해서 동서 간 갈등을 치유하고 국민통합을 이루는 정부가 됐으면 좋겠다는 목소리가 많았다”고 전했다.

김재후/이호기/도병욱/허란/이현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