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3차 핵실험] 2800억 들인 아리랑 3호, 핵실험 찍었나 못찍었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촬영 왜 못했나" 지적에 항우연 "찍긴 찍었다"
정부가 운영하는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 3호가 북한 핵실험 직후 현장을 촬영했는지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12일 정부 관계기관의 한 관계자는 “아리랑 3호가 북한의 핵실험 직후인 이날 오후 1시19분 한반도 상공을 지나갔지만 핵실험장인 함경북도 길주군 인근을 촬영하지 못했다”며 “촬영을 위해서는 수시간 전까지 위성에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데 이날 영상 수요처의 사전 요청이 없었다”고 말했다.
아리랑 3호를 운영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영상 수요처의 요구에 따라 촬영 스케줄을 결정하는데 북 핵실험이 임박한 이날에도 정찰 임무를 맡은 국가정보원의 요구가 없어 주요 자료를 놓친 것이라는 설명이다. 아리랑 3호는 유사시엔 북한 지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을 감시하는 임무도 수행한다.
지난해 5월 우주궤도에 안착한 아리랑 3호는 지상에 서 있는 자동차가 중형차, 소형차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국내 최고 해상도를 갖춘 위성이다. 개발에만 2800억원을 투입했다.
우주 분야 한 전문가는 “위성 활용 측면에서 정부 관계기관의 협력 체계가 부실하다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촬영 여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자 항우연 측은 “오후 1시19분 함경북도 길주군 인근에 대해 위성 촬영을 진행했고 영상 수신도 마쳤다”고 이날 저녁 해명했다. 항우연은 “이날 북한 지역에 구름이 많아 촬영된 사진의 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 영상을 공개할지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12일 정부 관계기관의 한 관계자는 “아리랑 3호가 북한의 핵실험 직후인 이날 오후 1시19분 한반도 상공을 지나갔지만 핵실험장인 함경북도 길주군 인근을 촬영하지 못했다”며 “촬영을 위해서는 수시간 전까지 위성에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데 이날 영상 수요처의 사전 요청이 없었다”고 말했다.
아리랑 3호를 운영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영상 수요처의 요구에 따라 촬영 스케줄을 결정하는데 북 핵실험이 임박한 이날에도 정찰 임무를 맡은 국가정보원의 요구가 없어 주요 자료를 놓친 것이라는 설명이다. 아리랑 3호는 유사시엔 북한 지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을 감시하는 임무도 수행한다.
지난해 5월 우주궤도에 안착한 아리랑 3호는 지상에 서 있는 자동차가 중형차, 소형차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국내 최고 해상도를 갖춘 위성이다. 개발에만 2800억원을 투입했다.
우주 분야 한 전문가는 “위성 활용 측면에서 정부 관계기관의 협력 체계가 부실하다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촬영 여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자 항우연 측은 “오후 1시19분 함경북도 길주군 인근에 대해 위성 촬영을 진행했고 영상 수신도 마쳤다”고 이날 저녁 해명했다. 항우연은 “이날 북한 지역에 구름이 많아 촬영된 사진의 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 영상을 공개할지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