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자영업 딜레마…늘어도 문제, 줄어도 문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급증했던 자영업자 수가 올 1월엔 2만1000명(전년동월비) 줄어 18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고 한다. 가족의 장사를 돕는 무급가족 종사자도 5만4000명이나 줄었다. 자영업이 일자리 창출의 돌파구는커녕 블랙홀이 되고 있는 셈이다. 정부는 작년에 자영업자가 많이 늘어난 데 따른 기저효과를 이유로 든다. 하지만 가뜩이나 포화상태인 자영업 시장에 불황의 짙은 그늘이 드리웠다고 보는 게 적절할 것이다.
자영업 감소세 반전은 예견됐던 결과다. 경기변동에 민감한 음식업, 소매업은 작년 하반기부터 줄기 시작했다. 창업을 주도하던 50대 자영업자도 이미 작년 12월 1만7000명 줄었다. 퇴직 후 장사나 해보자고 덤벼들었다 불황 속에 발을 빼는 징후로 해석할 수 있다. 올해도 2%대 저성장이 예고돼 자영업 감소세가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자영업 금융부채가 350조원에 달하는 점을 감안할 때 자영업의 급속한 몰락은 자칫 가계부실과 중산층 붕괴의 뇌관이 될 위험이 있다.
진입장벽이 낮은 자영업은 기본적으로 다산다사(多産多死) 구조다. 과거 고성장기와 달리 지금은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악성 퇴출이 많다는 게 문제다. 그럼에도 손쓸 여지가 별로 안 보인다. 무엇보다 자영업자가 너무 많아 과밀경쟁의 레드오션이 돼버린 탓이다. 자영업 비중은 28.8%(2010년)로 OECD 평균(15.9%)의 거의 두 배다. 음식점만 해도 약 80명당 한 개꼴이다. 그만큼 구조조정 압력이 거세지만 다른 한쪽에선 창업수요가 봇물이다. 그렇다고 베이비붐 세대를 겨냥해 정년연장과 재취업을 늘리자니 청년실업을 악화시킬까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자영업은 늘어도 문제, 줄어도 문제인 셈이다.
그동안 정부·정치권이 내놓은 자영업 대책이란 게 따지고 보면 자영업에서의 성공을 막고 잘하는 것을 못하게 만드는 것 일색이다. 프랜차이즈 육성책을 폈던 정부가 이제는 조금만 커져도 규제의 칼을 들이댄다. 이런 식이라면 자영업자 간 갈등과 반목을 부추기고, 혁신과 자립의지보다는 정부의존증을 키우게 마련이다. 궁극의 해법은 자영업 진입압력을 완화시킬 기업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뿐이다.
자영업 감소세 반전은 예견됐던 결과다. 경기변동에 민감한 음식업, 소매업은 작년 하반기부터 줄기 시작했다. 창업을 주도하던 50대 자영업자도 이미 작년 12월 1만7000명 줄었다. 퇴직 후 장사나 해보자고 덤벼들었다 불황 속에 발을 빼는 징후로 해석할 수 있다. 올해도 2%대 저성장이 예고돼 자영업 감소세가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자영업 금융부채가 350조원에 달하는 점을 감안할 때 자영업의 급속한 몰락은 자칫 가계부실과 중산층 붕괴의 뇌관이 될 위험이 있다.
진입장벽이 낮은 자영업은 기본적으로 다산다사(多産多死) 구조다. 과거 고성장기와 달리 지금은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악성 퇴출이 많다는 게 문제다. 그럼에도 손쓸 여지가 별로 안 보인다. 무엇보다 자영업자가 너무 많아 과밀경쟁의 레드오션이 돼버린 탓이다. 자영업 비중은 28.8%(2010년)로 OECD 평균(15.9%)의 거의 두 배다. 음식점만 해도 약 80명당 한 개꼴이다. 그만큼 구조조정 압력이 거세지만 다른 한쪽에선 창업수요가 봇물이다. 그렇다고 베이비붐 세대를 겨냥해 정년연장과 재취업을 늘리자니 청년실업을 악화시킬까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자영업은 늘어도 문제, 줄어도 문제인 셈이다.
그동안 정부·정치권이 내놓은 자영업 대책이란 게 따지고 보면 자영업에서의 성공을 막고 잘하는 것을 못하게 만드는 것 일색이다. 프랜차이즈 육성책을 폈던 정부가 이제는 조금만 커져도 규제의 칼을 들이댄다. 이런 식이라면 자영업자 간 갈등과 반목을 부추기고, 혁신과 자립의지보다는 정부의존증을 키우게 마련이다. 궁극의 해법은 자영업 진입압력을 완화시킬 기업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