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보유 쌍용건설 지분 22일 정부에 반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캠코 보유지분 어떻게 되나
정부는 금융사에 떠넘겨…채권단 반발
정부는 금융사에 떠넘겨…채권단 반발
캠코가 보유한 쌍용건설 지분은 오는 22일 정부(금융위원회)에 넘어간다. 지분 매입에 사용한 부실채권정리기금의 운용기간이 이날로 만료돼 청산되기 때문이다. 외환위기 이후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마련된 이 기금은 정부와 케이알앤씨(옛 정리금융공사) 하나은행 등 23개 금융사의 출연으로 조성됐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출자 비율에 따라 지분을 배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기금 출자 비율은 정부가 86%고, 금융사가 14%다. 그런데 금융위원회가 최근 정부 몫인 쌍용건설 지분의 85.95%를 하나은행 등 기금 출연 금융사에 떠넘기려 하자 채권은행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렇게 될 경우 쌍용건설 최대주주는 일단 예금보험공사 산하 자회사인 케이알앤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알앤씨가 부실채권정리기금에 대한 출연 비율이 3.99%로 채권단 중 가장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식 감자와 함께 출자전환이 이뤄진다면 1000억원어치 이상의 채권을 보유한 우리은행이나 신한은행이 대주주가 될 가능성도 있다.
이 같은 움직임에 채권은행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정부와 캠코가 지난해 말 채권은행이 쌍용건설에 13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해주면 유상증자 후 우선 상환해주겠다고 약속했다”며 “캠코가 지금 와서 빠지고 뒷수습은 민간 금융회사들이 떠맡으라는 소리냐”고 반발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정권 말이라 정부도 발을 뺀 것 아니냐”며 “캠코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할 문제라고 떠넘기고, 공자위는 캠코가 처리해야 할 문제라고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으로 쌍용건설의 운명은 채권단이 ‘지원을 통한 회생 가능성’을 어떻게 보느냐에 달려 있다. 채권은행들은 캠코가 빠진 상태에서의 유상증자에 회의적인 분위기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말 채권단이 지원한 1300억원도 벌써 흔적 없이 사라졌다”며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통한 출자전환 및 신규 자금 지원은 논의해봐야겠지만 쌍용건설이 회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야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인수 후보자들은 일단 쌍용건설 관련 악재가 지나간 뒤 인수하길 원한다”며 “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이후 인수하려는 움직임도 있다”고 전했다.
장창민/이현일 기자 cmjang@hankyung.com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출자 비율에 따라 지분을 배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기금 출자 비율은 정부가 86%고, 금융사가 14%다. 그런데 금융위원회가 최근 정부 몫인 쌍용건설 지분의 85.95%를 하나은행 등 기금 출연 금융사에 떠넘기려 하자 채권은행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렇게 될 경우 쌍용건설 최대주주는 일단 예금보험공사 산하 자회사인 케이알앤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알앤씨가 부실채권정리기금에 대한 출연 비율이 3.99%로 채권단 중 가장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식 감자와 함께 출자전환이 이뤄진다면 1000억원어치 이상의 채권을 보유한 우리은행이나 신한은행이 대주주가 될 가능성도 있다.
이 같은 움직임에 채권은행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정부와 캠코가 지난해 말 채권은행이 쌍용건설에 13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해주면 유상증자 후 우선 상환해주겠다고 약속했다”며 “캠코가 지금 와서 빠지고 뒷수습은 민간 금융회사들이 떠맡으라는 소리냐”고 반발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정권 말이라 정부도 발을 뺀 것 아니냐”며 “캠코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할 문제라고 떠넘기고, 공자위는 캠코가 처리해야 할 문제라고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으로 쌍용건설의 운명은 채권단이 ‘지원을 통한 회생 가능성’을 어떻게 보느냐에 달려 있다. 채권은행들은 캠코가 빠진 상태에서의 유상증자에 회의적인 분위기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말 채권단이 지원한 1300억원도 벌써 흔적 없이 사라졌다”며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통한 출자전환 및 신규 자금 지원은 논의해봐야겠지만 쌍용건설이 회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야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인수 후보자들은 일단 쌍용건설 관련 악재가 지나간 뒤 인수하길 원한다”며 “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이후 인수하려는 움직임도 있다”고 전했다.
장창민/이현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