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해단식이 5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향후 인수위원들의 진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7일 오전 현재 박 당선인의 청와대와 내각 진용이 최종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인수위원의 거취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인수위원 중 먼저 새 정부에 합류키로 결정된 인물은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으로 내정된 김장수 외교국방통일분과 간사, 외교부 장관에 내정된 같은 분과의 윤병세 인수위원 등 2명뿐이다. 역대 정권에선 인수위원들이 청와대에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나머지 인수위원들이 17일 오전 박 당선인이 발표할 '3차 인선'에 들어갈지 주목된다.

인수위 주변에서는 한번 능력이 검증된 사람은 계속 기용하는 박 당선인의 기조와 '전문성'을 중시하는 점 등 인수위 출신들이 청와대 비서진과 후속 조각 인선에 상당수 포함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후보군으로는 경제관료 출신으로 인수위 경제1분과 간사를 맡은 류성걸 새누리당 의원, 중소기업청장 출신으로 인수위 경제2분과 간사를 지낸 이현재 새누리당 의원이 각각 기재부, 산업통상자원부(현 지식경제부) 후보군에 들어있다.

정부조직개편을 주도한 국정기획조정분과 유민봉 간사나 옥동석 위원을 비롯해 이 분과 강석훈 새누리당 의원, 고용복지분과에 참여했던 안종범 새누리당 의원 등도 기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도 새 정부 출범 후 대통령 직속 위원회로 이어질 국민대통합위원회를 계속 맡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대선캠프에서 박 당선인의 '행복주택' 공약을 개발한 데 이어 인수위 경제2분과 인수위원으로 활동한 서승환 연세대 교수, 국가미래연구원 출신으로 '박근혜표 복지정책'을 입안한 최성재 고용복지분과 간사 등이 꼽힌다.

당장 새 정부 출범과 동시에 청와대, 내각에 합류하지 않을 인수위원들은 대다수가 본업으로 돌아갈 계획을 세워뒀다고 알려졌다.

인수위원의 3분의 2를 차지했던 교수 출신들도 대부분 인수위 활동이 끝나면 학교로 돌아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들 인수위원도 새 정부의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에 참여했던 만큼 새 정부에 언제든 중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여겨진다.

한경닷컴 한지아 기자 jyahhan@han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