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인공지능(AI) 분야 선도 기업인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체결에 대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정 대표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참석해 양사의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오픈AI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것은 국내에서 카카오가 처음이다. 카카오와 오픈AI는 더 많은 이용자들이 AI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정신아 대표는 이날 키노트 발표에서 "오랜 기간 국민 다수의 일상을 함께 하며 축적해 온 역량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가장 잘 이해하는 개인화된 AI'를 선보이는 것이 지금 시대 카카오의 역할일 것"이라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오픈AI와 협력해 혁신적 고객경험을 제공함으로써 AI 서비스의 대중화를 이끌겠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톡, 카나나 등 서비스에 오픈AI 기술 적용카카오와 오픈AI는 지난해 9월부터 'AI 서비스 대중화'라는 동일한 목표 아래 기술과 서비스, 사업 등 다양한 범위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해 왔다. 그 결과 우선 카카오톡, 카나나 등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에 오픈AI의 최신 AI 기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활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AI 네이티브 컴퍼니(AI native company)'로의 전환을 가속하고자 챗GPT 엔터프라이즈도 도입하기로 했다.카카오는 이번 협력을 통해 AI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한층 강화한다. 지난해 10월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처음 공개한 이 전략은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AI 모델 뿐 아니라 외부의 우수한 API를 활용
신소재 개발사 랩인큐브가 세계 최대 미용의학학회 ‘임카스 월드 콩그레스 2025(IMCAS World Congress 2025, 이하 IMCAS)’에 참가해 병원용 스킨부스터 신제품을 공개했다.랩인큐브는 IMCAS에서 선보인 스킨부스터 신제품 ‘플라큐브 핑크볼’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지난달 30일부터 2월 1일까지 프랑스 파리 팔레 데 콩그레에서 열린 IMCAS 2025는 매년 열리는 피부과 및 성형외과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와 기술을 공유하는 자리다. 전 세계 의료진 및 업계 전문가들이 참가하고 있다.신제품 플라큐브 핑크볼은 ‘인큐브’(다공성신소재)를 활용해 더 강한 안티에이징(항노화) 효과를 자랑한다.또한 젖산 중합체로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폴리엘락틴산(PLLA) 성분과 연어의 DNA에서 추출한 폴리뉴클레오티드(PN)성분의 장점을 결합한 최신 기술 제품으로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특히 랩인큐브의 독보적인 원천기술인 인큐브 소재를 활용한 랩인큐브의 기술력을 세계에 알리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에 IMCAS 파리를 시작으로 이탈리아, 캐나다, 튀르키예, 홍콩 등 유럽, 중동, 아시아 및 북미 대륙에 적극적인 홍보활동도 나선다.랩인큐브 관계자는 “앞으로도 인큐브신소재를 적용한 신기능 필러, 스킨부스터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글로벌 의료기기 분야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랩인큐브 2021년 최경민 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교수가 ‘분자 간격 조절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창업한 다공성 신소재(INCUBE) 전문연구개발 신생벤처다. 자체 개발한 다공성 신소재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신제품을 개발해 왔다.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