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막대한 예산 투입 등을 이유로 전면 유보했던 서울시 경전철 민자사업이 다음달 재추진된다. 서울시와 시의회 관계자는 17일 “다음달 중순께 경전철 민자사업 재추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총 7개 노선 중 신림선(여의도~서울대), 동북선(왕십리~중계동), 면목선(신내동~청량리) 건설을 우선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부선(은평 신사동~상도동), DMC선(DMC 내부순환), 목동선(신월동~당산역)은 사업성이 떨어져 유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오세훈 전 시장 시절인 2008년 민간 자본을 끌어들여 우이선, 신림선, 동북선, 면목선, 서부선, DMC선, 목동선 등 7개 구간의 경전철을 건설한다는 내용을 담은 ‘도시철도 10개년 기본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서울시에 앞서 건설해 ‘돈먹는 하마’로 전락한 김해·의정부·용인 경전철 민자사업 3곳의 전철을 되풀이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빗나간 수요예측으로 개통 이전부터 불거졌던 막대한 세금 낭비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에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2011년 9월과 지난해 8월에 각각 개통한 김해 경전철과 의정부 경전철 이용객은 당초 예측한 승객 수요의 20% 이하에 머물고 있다. 오는 4월 개통을 앞두고 있는 용인 경전철도 잘못된 수요예측으로 3조5000억원의 손실이 예상되자 용인시가 지난해 민간 사업자에게 7700억원의 배상금을 물어주고 계약(MRG·최소 운영수입 보장제)을 해지했지만 향후 30년간 최소 1조원 이상의 운영 손실이 점쳐진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