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인 지난 15일 오후 6시 퇴근시간. 기자는 탑석역에서 회룡역으로 향하는 의정부경전철에서 몇 안 되는 시민들과 얘기를 나눴다. 한 시민은 “출퇴근 때조차 서서 간 적이 거의 없다”며 “승객이 이렇게 적은데 정상적인 운영이 될는지…”라고 말끝을 흐렸다.

의정부경전철(주)은 지난해 7월 개통 이후 매달 20억원 안팎의 적자를 낸다. 한 달 수입은 4억원 남짓. 그러면서 매달 10억원가량의 원리금 상환에다 운영 위탁사 지급액도 11억5000만원, 직원 급여 등 운영비 2억원까지 23억원을 지출해야 한다. 이번 겨울에는 눈만 오면 고장 나 ‘고장철’이란 비판까지 들었다. 이런 재정상황이 계속되면 의정부경전철(주)이 파산 위기에 몰릴 것이란 얘기가 시 안팎에 파다하다. 사정이 이런데도 의정부시는 뾰족한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2011년 9월 개통한 김해경전철도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승객 수요는 당초 예상치의 17.9%에 그친다. 이 때문에 부산시와 김해시는 민간사업자에 줘야 할 손실 보전금 분담을 놓고 장기간 티격태격하고 있다. 오는 4월 개통하는 용인경전철은 운행 개시도 전에 시가 소송전에서 패소, 민자사업자에 7787억원을 배상해야 한다.

이것이 각 지방자치단체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경전철 사업의 현주소다. 이런 와중에 서울시가 앞서 유보했던 경전철 민자사업을 다음달부터 재추진하겠다는 방침을 세워 우려가 앞선다.

물론 교통여건이 뒤떨어지는 낙후지역의 경전철 사업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볼 필요는 없다. 대중교통 사업을 눈앞의 계산만으로 평가할 수도 없다. 다른 지역과 달리 서울엔 승객 수요가 많다는 서울시 주장도 일리는 있다. 이런 이유로 당초 민자사업을 부정적으로 바라봤던 박원순 서울시장도 고심 끝에 타당성 검토를 전제로 경전철 사업을 재추진키로 한 것일 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사업 착수에 앞서 의정부·김해·용인경전철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밝은 전망보다 3개 시의 시행착오부터 거듭 들여다보며 따져봐야 할 사항도 매우 많다. 이런 중요한 결정을 앞두고 시 실무자들은 ‘(박 시장은) 경전철 추진계획을 유보하거나 번복한 적이 없다’는 점을 애써 강조하려는 것 같다. 중요한 건 시장의 입장 번복 여부가 아니라 시민 세금이 들어가는 대형사업을 지금 하는 게 맞는지에 대한 올바른 판단이다.

강경민 지식사회부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