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산업계 "1달러=100엔 희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시장에서 한국 제조업체와 경쟁하는 일본 제조업체의 희망 환율이 달러당 100엔대로 모아지고 있다.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일본 내 생산을 늘리기 위해서는 추가 엔화가치 하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하라 히사시 미쓰비시중공업 선박·해양사업본부장은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업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엔화가치가 달러당 100엔 정도 돼야 한다”고 말했다.
엔저(低) 효과는 이미 나타나기 시작했다. 미쓰비시중공업은 당초 50억엔 규모로 잡았던 작년 회계연도(2012년 4월~2013년 3월) 영업이익을 110억엔 수준으로 최근 상향 조정했다. 달러당 80엔 수준으로 잡았던 엔·달러환율이 최근 들어 90엔대로 높아진 덕분이다.
자동차업계에서도 ‘100엔대 환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카를로스 곤 닛산자동차 사장은 지난달 “엔화환율은 달러당 100엔이 적당하다”고 말했고, 같은 회사의 시가 도시유키 최고운영책임자(COO)도 “달러화 대비 엔화환율이 100엔까지 오를 경우 일본 공장에서 제품 생산이 더 활발해질 것”이라고 거들었다.
도요다 아키오 도요타자동차 사장도 최근 “수출을 늘리기 위해 엔화가치가 더 떨어져야 한다”며 “엔·달러 환율의 적정 수준은 95~100엔대”라고 강조했다. 엔화 가치가 달러당 1엔 떨어지면 도요타는 연간 350억엔(약 4180억원), 닛산은 200억엔(약 2380억원)의 영업이익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쿄=안재석 특파원 yagoo@hankyung.com
하라 히사시 미쓰비시중공업 선박·해양사업본부장은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업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엔화가치가 달러당 100엔 정도 돼야 한다”고 말했다.
엔저(低) 효과는 이미 나타나기 시작했다. 미쓰비시중공업은 당초 50억엔 규모로 잡았던 작년 회계연도(2012년 4월~2013년 3월) 영업이익을 110억엔 수준으로 최근 상향 조정했다. 달러당 80엔 수준으로 잡았던 엔·달러환율이 최근 들어 90엔대로 높아진 덕분이다.
자동차업계에서도 ‘100엔대 환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카를로스 곤 닛산자동차 사장은 지난달 “엔화환율은 달러당 100엔이 적당하다”고 말했고, 같은 회사의 시가 도시유키 최고운영책임자(COO)도 “달러화 대비 엔화환율이 100엔까지 오를 경우 일본 공장에서 제품 생산이 더 활발해질 것”이라고 거들었다.
도요다 아키오 도요타자동차 사장도 최근 “수출을 늘리기 위해 엔화가치가 더 떨어져야 한다”며 “엔·달러 환율의 적정 수준은 95~100엔대”라고 강조했다. 엔화 가치가 달러당 1엔 떨어지면 도요타는 연간 350억엔(약 4180억원), 닛산은 200억엔(약 2380억원)의 영업이익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쿄=안재석 특파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