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식품업체 10여곳 직권조사] 대형마트 '잦은 반품·판촉비 떠넘기기' 정조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납품단가 후려치기 등 관행화된 부분도 건드릴 듯
대형마트는 크게 당황…"불똥 어디로 튈지 몰라"
대형마트는 크게 당황…"불똥 어디로 튈지 몰라"
공정거래위원회는 대형마트의 불공정 행위 중 어떤 부분을 문제 삼고 있는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다만 식품업계에서는 부당한 반품과 판촉비·광고비 전가, 납품업체 판촉사원 파견, ‘단가 후려치기’ 등 가격 결정 과정에서의 문제점 등에 대한 현황을 폭넓게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비정규직 판매사원을 식품회사에서 고용하도록 한 뒤 실제로는 대형마트의 일반 매장 업무를 보도록 한다든가 재고 부족분을 납품업체에 전가시키는 행위 등이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것이란 지적이다. 공정위가 지난해 5~7월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반품액, 판촉비, 물류비, 판촉사원 수 등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납품업체 한 곳당 떠안은 반품액은 2009년 3억1020만원에서 2011년 4억3170만원으로 39.2% 늘었고, 납품업체가 유통업체에 지원하는 판촉사원 수는 41.1명에서 53.4명으로 29.9% 뛰었다. 판촉비와 물류비 증가율도 20%에 육박했다.
대형마트의 납품가격 결정과정도 공정위의 도마에 오를 것이란 관측이다. 판매가격은 보통 대형마트와 납품업체 간 협의를 통해 정해진다. 대형마트는 더 싼 값에 공급할 것을 요구하는데 납품업체는 ‘울며 겨자 먹기’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납품업체 입장에선 이윤이 거의 남지 않는 가격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그렇지 않으면 제품 발주를 더 이상 하지 않거나 눈길이 잘 가지 않는 곳에 진열해 매출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식품업계에선 업체들이 대형마트 측에서 원하는 가격에 맞추지 않을 경우 물건을 빼버리는 이른바 ‘코드아웃’이 종종 벌어지고 있다고 하소연한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이에 대해 “소비자들에게 가격 인하 혜택이 돌아가는 판매 행사를 제외하면 가격 결정은 철저하게 납품업체의 자율적 결정에 따라 이뤄진다”고 강조했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달에도 19개 대형 유통업체와 4807개 납품업체를 대상으로 벌인 유통분야 서면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런 움직임에 대해 대형마트 측은 당황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지난해 경기 부진에 정부의 규제 리스크가 더해지면서 성장속도가 큰 폭으로 둔화됐는데 이번 조사의 최종 타깃으로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아직 공정위에서 실제로 조사를 나오지 않아 뭐라고 얘기할 부분이 없다”면서도 “이번에는 불똥이 어디로 튈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식품회사들이 잇따라 가격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담합 여부와 업체들이 대형마트에만 싸게 공급하는 등의 문제를 공정위가 함께 들여다보고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주용석/송종현 기자 hohoboy@hankyung.com
우선 비정규직 판매사원을 식품회사에서 고용하도록 한 뒤 실제로는 대형마트의 일반 매장 업무를 보도록 한다든가 재고 부족분을 납품업체에 전가시키는 행위 등이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것이란 지적이다. 공정위가 지난해 5~7월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반품액, 판촉비, 물류비, 판촉사원 수 등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납품업체 한 곳당 떠안은 반품액은 2009년 3억1020만원에서 2011년 4억3170만원으로 39.2% 늘었고, 납품업체가 유통업체에 지원하는 판촉사원 수는 41.1명에서 53.4명으로 29.9% 뛰었다. 판촉비와 물류비 증가율도 20%에 육박했다.
대형마트의 납품가격 결정과정도 공정위의 도마에 오를 것이란 관측이다. 판매가격은 보통 대형마트와 납품업체 간 협의를 통해 정해진다. 대형마트는 더 싼 값에 공급할 것을 요구하는데 납품업체는 ‘울며 겨자 먹기’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납품업체 입장에선 이윤이 거의 남지 않는 가격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그렇지 않으면 제품 발주를 더 이상 하지 않거나 눈길이 잘 가지 않는 곳에 진열해 매출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식품업계에선 업체들이 대형마트 측에서 원하는 가격에 맞추지 않을 경우 물건을 빼버리는 이른바 ‘코드아웃’이 종종 벌어지고 있다고 하소연한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이에 대해 “소비자들에게 가격 인하 혜택이 돌아가는 판매 행사를 제외하면 가격 결정은 철저하게 납품업체의 자율적 결정에 따라 이뤄진다”고 강조했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달에도 19개 대형 유통업체와 4807개 납품업체를 대상으로 벌인 유통분야 서면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런 움직임에 대해 대형마트 측은 당황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지난해 경기 부진에 정부의 규제 리스크가 더해지면서 성장속도가 큰 폭으로 둔화됐는데 이번 조사의 최종 타깃으로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아직 공정위에서 실제로 조사를 나오지 않아 뭐라고 얘기할 부분이 없다”면서도 “이번에는 불똥이 어디로 튈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식품회사들이 잇따라 가격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담합 여부와 업체들이 대형마트에만 싸게 공급하는 등의 문제를 공정위가 함께 들여다보고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주용석/송종현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