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악재 지속…과거 일본에서는?"-토러스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토러스투자증권은 20일 단기적으로는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과거 일본의 사례에 비춰 중장기적으로 내수주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김대준 토러스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최근의 엔·달러 환율 급등에도 불구하고 엔화 약세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시행 중이고, 차기 일본은행 총재가 아베노믹스를 수행할 예정이기 때문. 유로존 재정위기 안정과 일본의 무역수지 적자 지속도 엔화 약세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봤다.
그는 "일본과 한국은 기업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엔화 강세에서 수익률이 양호했던 일본 업종의 특성이 원화가 강세를 보일 때 한국 증시에서도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엔화 강세 시기 일본 증시에서는 도소매 유통, 기계, 서비스, 건설, 음식료 등의 업종은 벤치마크 대비 초과수익률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엔화 강세 국면에서 대지진이라는 특이한 변수를 제외하면 경기방어적 성향을 갖는 내수 업종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계 업종이 주로 강세를 보였다는 설명이다.
김 애널리스트는 "투자자들은 엔화 약세에 따른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업종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우선적으로 일본과 수출경합도가 높은 업종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다만 엔·달러 환율이 100엔에 도달할 때까지 엔·달러 환율의 상승 기울기는 다소 완만해질 것으로 예상돼, 단기적으로는 그간 엔화 약세의 영향으로 하락 폭이 컸던 경기민감주 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경기방어적 성격을 지닌 내수주에 주목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
김대준 토러스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최근의 엔·달러 환율 급등에도 불구하고 엔화 약세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시행 중이고, 차기 일본은행 총재가 아베노믹스를 수행할 예정이기 때문. 유로존 재정위기 안정과 일본의 무역수지 적자 지속도 엔화 약세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봤다.
그는 "일본과 한국은 기업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엔화 강세에서 수익률이 양호했던 일본 업종의 특성이 원화가 강세를 보일 때 한국 증시에서도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엔화 강세 시기 일본 증시에서는 도소매 유통, 기계, 서비스, 건설, 음식료 등의 업종은 벤치마크 대비 초과수익률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엔화 강세 국면에서 대지진이라는 특이한 변수를 제외하면 경기방어적 성향을 갖는 내수 업종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계 업종이 주로 강세를 보였다는 설명이다.
김 애널리스트는 "투자자들은 엔화 약세에 따른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업종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우선적으로 일본과 수출경합도가 높은 업종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다만 엔·달러 환율이 100엔에 도달할 때까지 엔·달러 환율의 상승 기울기는 다소 완만해질 것으로 예상돼, 단기적으로는 그간 엔화 약세의 영향으로 하락 폭이 컸던 경기민감주 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경기방어적 성격을 지닌 내수주에 주목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