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전문가와 단체들은 박근혜 정부가 북한의 제3차 핵실험 등으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지만 북한과 대화와 협력을 통해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를 위해 박근혜 당선인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현재 상황에 맞도록 구체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문하는 한편 박근혜 정부가 북한 주민의 인권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박종철(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지난 12일 북한이 제3차 핵실험을 단행함으로써 박근혜 정부가 통일을 위한 대전략을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특히 박근혜 당선인이 제시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통일국가 대전략에 어떻게 접목시킬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 지금까지 우리 정부가 추진한 대북·통일정책이 일관성을 갖지 못하고 전 국민적 합의에 기반을 두지 못했다는 측면에서 박근혜 정부가 지속 가능하고 국민적 통합을 이룰 수 있는 대북·통일정책의 시발점이 됐으면 좋겠다.

▲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남북한의 소통과 협력 없이 한반도의 평화는 오지 않는다.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협정 없이 평화는 지속할 수 없다.

정전협정 60주년인 올해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체제의 새로운 토대가 마련된다면 박근혜 정부의 '행복한 통일시대'는 역사에 남을 것이다.

북핵문제 해결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대화와 협상이다.

6자회담 재개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박근혜 당선인이 대통령 취임식에 맞춰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비전을 제시하면서 북미 간 대화와 조속한 6자회담 재개를 촉구하고 남북한 사이의 평화·비핵화 회담을 제안하는 등의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강영식(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운영위원장) = 어려운 상황에서 박근혜 정부가 출범했지만 잘 헤쳐나갔으면 좋겠다.

북한의 3차 핵실험 등으로 박근혜 당선인이 제시했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남북관계 정상화에 대한 목소리는 작아지는 대신 강경한 대북제재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최근 상황이 우려스럽다.

그러나 대북정책에서 핵심적인 것은 남북 간 대화 재개와 남북관계 복원이라는 점에서 우선 여기에 힘을 써주기 바란다.

새 정부가 난국을 풀어가기 위해서 적극적이고 담대한 방안을 모색했으면 좋겠다.

▲최요식(금강산지구기업협의회 회장) = 금강산관광으로 휴전선이 뚫렸다는 점에서 관광사업은 남북 간 평화와 통일을 가장 빨리 앞당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관광은 통일의 지름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박근혜 정부가 5년 가까이 중단된 금강산관광이 하루속히 재개될 수 있도록 하는 대북정책을 폈으면 좋겠다.

악화된 남북관계가 지속하면 금강산관광에 참여했던 기업의 어려움은 차치하고라도 국민이 많이 불안해한다.

이런 점에서 남북한 적십자를 통해 이산가족 상봉을 재개해 당국 간 대화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이산가족 상봉을 통해 경색된 남북관계를 화해 분위기로 변화시키고, 남북 당국 간 대화를 통해 관계 정상화로 나가야 한다.

▲김윤태(북한민주화네트워크 사무총장) = 박근혜 당선인이 제시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북한이 핵실험을 단행한 현 상황에 맞도록 다듬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북핵문제 해결과 남북관계 개선의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대북정책을 전반적으로 검토하면서 북핵문제 해결에 우선으로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 북한인권 문제와 북한인권법이 제대로 다뤄지지 않고 '수사'에 그쳤는데, 박근혜 정부는 북한인권 문제에 정치적으로 접근하지 말고 북한 주민의 인권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법·제도를 정비했으면 좋겠다.

또 북한인권법 제정과 관계없이 북한인권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전담 부서를 정부 부처 내에 신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서울연합뉴스) 장철운 기자 jc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