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초대 청와대 비서진과 내각 구성을 통해 본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운영 구상은 이렇게 요약된다. 새 정부를 이끌어 갈 청와대(3실장 9수석)와 내각(국무총리와 17명의 장관) 진용의 면면을 보면 일과 능력 우선의 실무형이 대다수다. 한마디로 박 대통령이 좋아하는 ‘묵묵히 자기 역할 잘하는 사람들’로 채워졌다는 의미다. 관료를 중용한 내각은 물론 청와대도 마찬가지다.
청와대는 힘을 뺀 ‘작은 청와대’의 콘셉트에 맞게 대부분 해당 분야에 정통한 실무형 참모진으로 구성했다. 실장과 수석 12명 중 9명이 지난 대선 캠프와 인수위원회에서 박 대통령과 호흡을 맞춰본 인사들이다.
이에 비해 내각은 총리를 포함한 18명 중 관료(8명)와 학자(6명) 출신이 14명에 달할 만큼 철저히 전문가군으로 짜였다. 이 때문에 과거처럼 청와대가 내각에 깊숙이 개입, 관료들에게 지시를 내리고 정책을 조정하는 역할은 최소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박 대통령의 구상은 ‘대통령이 책임 내각을 이끌면서 국정을 주도하고 청와대 비서실은 옆에서 조용히 돕는 역할’에 맞춰진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박 대통령의 이 같은 구상이 1970년대 박정희 전 대통령(사진)의 국정 운영 스타일을 벤치마킹한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부친인 박 전 대통령 역시 청와대 비서실은 ‘보좌’와 ‘비서’ 기능에 충실하도록 하고 부처 장관에 힘을 실어주면서 실질적인 국정 운영은 내각 중심으로 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