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필립 이사장 자진 사퇴…정수장학회 정치 논란 해소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누 끼친 일 있으면 용서를"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85·사진)이 25일 이사장직을 자진 사임했다.
최 이사장은 이날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그리고 언론인 여러분’이라는 제목의 팩스 전송문을 각 언론사에 보내 사임 의사를 밝혔다. 그는 “이제 저는 정수장학회 이사장으로서 소임을 다했다고 생각한다”며 “오늘 자로 그동안 봉직해왔던 재단법인 정수장학회 이사장직을 물러나고자 한다”고 말했다.
최 이사장은 지난해 대선 이전 MBC 관계자와의 대화 내용이 보도되면서 언론사 지분 매각 논란을 일으켰던 인물이다. 그는 대선 직전까지 야권의 사퇴압박을 받아왔다. 최 이사장이 이날 박근혜 대통령 취임에 맞춰 이사장직을 내려놓음에 따라 그동안 정수장학회를 둘러싸고 일었던 정치적 논란이 일단락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그는 “지난 대선 기간에 정수장학회와 관련된 근거 없는 의혹이 일기도 했다”며 “그동안 이사장직을 지키고 있던 것은 자칫 저의 행보가 정치권에 말려들어 본의 아니게 정치권에 누를 끼치게 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최 이사장은 “정수장학회는 두 차례에 걸친 서울시교육청 감사에서 밝혀졌듯 한치의 과오도 없이 투명하고 모범적으로 운영돼 왔다”며 “정수장학회는 50여년 전 박정희 대통령이 수립한 엄연한 공익재단”이라고 강조했다.
최 이사장은 “혹시라도 본의 아니게 누를 끼쳐 드린 일이 있었다면 모두 용서하시고 이해해달라”며 “앞으로도 정수장학회가 젊은 학생들에게 미래의 꿈을 이뤄주는 본연의 임무를 이어가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지난해 대선 기간 야당은 정수장학회가 고(故) 김지태 씨의 부일장학회를 강탈해 설립한 ‘장물’이며 박 대통령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법원은 김씨 유족이 정수장학회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증여 의사 표시가 강압에 의한 것으로 인정되지만 시효가 지나 반환 청구를 할 수는 없다고 판결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은 대선 기간 정수장학회가 정치적 논란의 중심에서 벗어나 공익재단으로 새롭게 거듭날 수 있도록 장학회 명칭을 바꾸고 최 이사장이 자진 사퇴할 필요가 있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내비친 바 있다. 외교관 출신인 최 이사장은 1970년대 대통령 의전비서관·공보비서관을 거쳤고 2005년부터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맡아왔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최 이사장은 이날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그리고 언론인 여러분’이라는 제목의 팩스 전송문을 각 언론사에 보내 사임 의사를 밝혔다. 그는 “이제 저는 정수장학회 이사장으로서 소임을 다했다고 생각한다”며 “오늘 자로 그동안 봉직해왔던 재단법인 정수장학회 이사장직을 물러나고자 한다”고 말했다.
최 이사장은 지난해 대선 이전 MBC 관계자와의 대화 내용이 보도되면서 언론사 지분 매각 논란을 일으켰던 인물이다. 그는 대선 직전까지 야권의 사퇴압박을 받아왔다. 최 이사장이 이날 박근혜 대통령 취임에 맞춰 이사장직을 내려놓음에 따라 그동안 정수장학회를 둘러싸고 일었던 정치적 논란이 일단락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그는 “지난 대선 기간에 정수장학회와 관련된 근거 없는 의혹이 일기도 했다”며 “그동안 이사장직을 지키고 있던 것은 자칫 저의 행보가 정치권에 말려들어 본의 아니게 정치권에 누를 끼치게 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최 이사장은 “정수장학회는 두 차례에 걸친 서울시교육청 감사에서 밝혀졌듯 한치의 과오도 없이 투명하고 모범적으로 운영돼 왔다”며 “정수장학회는 50여년 전 박정희 대통령이 수립한 엄연한 공익재단”이라고 강조했다.
최 이사장은 “혹시라도 본의 아니게 누를 끼쳐 드린 일이 있었다면 모두 용서하시고 이해해달라”며 “앞으로도 정수장학회가 젊은 학생들에게 미래의 꿈을 이뤄주는 본연의 임무를 이어가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지난해 대선 기간 야당은 정수장학회가 고(故) 김지태 씨의 부일장학회를 강탈해 설립한 ‘장물’이며 박 대통령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법원은 김씨 유족이 정수장학회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증여 의사 표시가 강압에 의한 것으로 인정되지만 시효가 지나 반환 청구를 할 수는 없다고 판결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은 대선 기간 정수장학회가 정치적 논란의 중심에서 벗어나 공익재단으로 새롭게 거듭날 수 있도록 장학회 명칭을 바꾸고 최 이사장이 자진 사퇴할 필요가 있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내비친 바 있다. 외교관 출신인 최 이사장은 1970년대 대통령 의전비서관·공보비서관을 거쳤고 2005년부터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맡아왔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