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은 26일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둔 박근혜 정부의 초대 장관 내정자들에 대해 전방위 검증 공세에 나서며 각종 의혹을 쏟아냈다.

국회 법제사법위 소속 민주당 및 진보정의당 의원들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황교안 법무장관 내정자가 2011년 8월 공직에서 물러난 뒤 그해 9월부터 현재까지 1년 5개월간 법무법인 태평양에서 근무하며 15억9천여만원을 받은 것과 관련, 전관예우 논란을 제기하며 구체적 수임 내역에 대한 자료 제출을 촉구했다.

이들은 "전관예우도 문제지만, 전관예우로 많은 돈을 벌은 인사가 다시 공직에 임명되는 '신(新)회전문 인사'도 맞지 않다"며 "일부 보도에 따르면 수임받은 사건은 3개에 불과해 과도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황 내정자는 퇴임 후 변호사 활동과 관련된 일체의 자료를 제출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통합당 박범계 의원은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의 며느리가 태평양 소속 변호사이며 정 후보자와 황 내정자는 출신학교도 겹친다"며 "이 뿌리 깊은 커넥션이 장관 내정자 추천에 어떻게 작용했는지도 검증의 주요 포인트"라고 말했다.

노웅래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는 한때 보유했던 상가건물에서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80만원의 임대 수입이 발생했다고 신고했으나 실제 시세는 보증금 1억원에 월세 250만원 수준"이라며 탈세 의혹을 제기했다.

정청래 의원 측은 "윤병세 외교부 장관 내정자의 딸이 대학 때 가계 곤란 장학금을 5번 받았다"며 "윤 내정자가 30년 넘게 외교부 공무원을 하다 퇴임 후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고액 연봉을 받은 것에 비춰볼 때 부적절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박홍근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서남수 교육부 장관 내정자의 딸이 지난 2010년 당시 교원자격증이 없었음에도 과천 한 고등학교의 과학 실험 교육 인턴교사로 채용됐다"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김경협 의원은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 내정자가 노동연구원 재직 중 승인 없이 임의로 연구용역 3건과 대외 강의 4건으로 2천10만원을 받았으나 이를 신고하지 않았다"며 "공직후보자로서 적절치 못한 행동"이라며 보도자료에서 지적했다.

진선미 의원 측은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내정자가 자신이 받은 정치후원금을 당에 기탁금 등으로 낸 뒤 이를 4천여만원의 기부금으로 신고했다"며 "잘못된 신고로 소득공제를 과다하게 받았다"고 주장했다.

한정애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윤성규 환경부 장관 내정자가 2009년 기상청 퇴직 후 9월 '폐자원에너지화·Non-CO2온실가스사업단' 단장으로 취임했는데, 당시 심사위원 8명 중 4명과 직·간접 친분관계가 있다"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진보정의당 박원석 의원은 "현오석 경제부총리 내정자는 인사청문자료에 1979년9월부터 1984년5월까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경제학 박사 과정을 마친 것으로 기재했는데, 유학 휴직 기간은 1982년10월부터 1984년4월까지"라며 해명을 요구했다.

민주당 정성호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에 대해 "무기중개업체 로비스트 활동, 위장전입 의혹 등 그동안 제기된 의혹들만으로도 일국의 국방을 책임질 장관으로써의 자격을 이미 상실했다"며 자진 사퇴를 재차 촉구했다.

통합진보당 민병렬 대변인은 "세금탈루, 부동산 투기, 병역 회피, 청문회 앞두고 뒤늦은 세금납부 등 도덕과 양심에 비춰 안 부끄러운 후보가 없다"며 "새누리당 의원들은 검증에 나서진 못하더라도 낯뜨거운 감싸기는 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홍지인 기자 ljungber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