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자'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남도 "매년 수십억 적자"
노조 "공공성 무시 처사"
노조 "공공성 무시 처사"
경남도가 매년 경영 손실로 약 300억원에 이르는 부채를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로 도립 진주의료원(사진)을 폐업하기로 결정하자 지역에서 반대 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176명의 노조원이 가입한 보건의료산업노조 진주의료원지부는 의료원 폐업 결정이 내려진 직후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27일 민주노총과 함께 경남도청을 항의 방문했다.
박성용 진주의료원 지부장은 “수천억원의 적자를 낸 경남개발공사는 그대로 두고 200여억원 적자인 진주의료원을 폐업하려는 도의 결정은 취소돼야 한다”며 “공공의료기관으로 수행해왔던 역할은 무시하고 만성 적자를 이유로 문을 닫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남도 측은 “매년 수십억원씩 적자를 내고 있어 폐업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환자와 가족, 시민들도 폐업 결정에 당황스럽다는 반응이다.
입원한 아내를 간호하고 있는 유한명 씨(70)는 “생활보호대상자인 중증 환자들이 일반 병원보다 싼 덕분에 치료를 받고 있는데 폐업하려는 것은 환자 보고 죽으라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진주시 하대동에 사는 박상호 씨(45)는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병원에서 자본의 논리에 얽매이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진주의료원이 폐업하면 203명의 환자 이송과 233명의 종사자 재취업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도는 환자에 대해 자발적 퇴원과 지역 내 인근 병원 이송을 추진하고 직원은 자진 퇴사와 이직을 유도할 방침이다.
한편 도는 이날 남해도립대와 거창도립대를 경남도립대(가칭)로, 문화재단·문화콘텐츠진흥원·영상위원회는 경남문화예술진흥원(가칭)으로 통합한다고 밝혔다.
창원=강종효 기자 k123@hankyung.com
176명의 노조원이 가입한 보건의료산업노조 진주의료원지부는 의료원 폐업 결정이 내려진 직후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27일 민주노총과 함께 경남도청을 항의 방문했다.
박성용 진주의료원 지부장은 “수천억원의 적자를 낸 경남개발공사는 그대로 두고 200여억원 적자인 진주의료원을 폐업하려는 도의 결정은 취소돼야 한다”며 “공공의료기관으로 수행해왔던 역할은 무시하고 만성 적자를 이유로 문을 닫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남도 측은 “매년 수십억원씩 적자를 내고 있어 폐업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환자와 가족, 시민들도 폐업 결정에 당황스럽다는 반응이다.
입원한 아내를 간호하고 있는 유한명 씨(70)는 “생활보호대상자인 중증 환자들이 일반 병원보다 싼 덕분에 치료를 받고 있는데 폐업하려는 것은 환자 보고 죽으라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진주시 하대동에 사는 박상호 씨(45)는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병원에서 자본의 논리에 얽매이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진주의료원이 폐업하면 203명의 환자 이송과 233명의 종사자 재취업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도는 환자에 대해 자발적 퇴원과 지역 내 인근 병원 이송을 추진하고 직원은 자진 퇴사와 이직을 유도할 방침이다.
한편 도는 이날 남해도립대와 거창도립대를 경남도립대(가칭)로, 문화재단·문화콘텐츠진흥원·영상위원회는 경남문화예술진흥원(가칭)으로 통합한다고 밝혔다.
창원=강종효 기자 k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