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3개월째를 맞은 홍준표 경남지사(사진)가 의회 의견을 무시하거나 비공개 행정을 일삼는 등의 ‘일방적인’ 도정 운영으로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

홍 지사는 지난 1월14일 도내 18개 시·군의 시장·군수와 가진 취임 후 첫 정책회의를 비공개로 진행했다. 김두관 전 지사가 2010년 12월 두 차례에 걸쳐 공개로 정책회의를 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지난달 26일 열린 도지사 선거공약 보고회도 통상 공개적으로 진행되던 방식과 달리 비공개로 이뤄졌다. 이 때문에 투명한 공개행정을 외면하고 소통과 화합을 무시한 도정운영을 한다는 여론의 비난을 받고 있다.

특히 홍 지사는 지난 1월 말 도가 출자·출연한 기관장을 임명할 때 도의회의 의견을 듣겠다며 전국에서 처음 ‘출자·출연기관장 임용 전 도의회 의견청취제’를 도입했다. 하지만 홍 지사가 임명한 후보자가 도의회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자 “인사권은 도지사의 고유 권한”이라며 도입 한 달도 안돼 인사검증제를 취소했다.

홍 지사가 지역 현안에 대해 사전 공개 없이 ‘일방통보식’ 브리핑을 하자 이해당사자들이 당황해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인데, 의료원 노조 등 관계자들과 한 차례의 협의도 없었고 의료혜택을 받는 지역민들과 논의도 없었다.

이에 대해 정장수 경남도 공보특보는 “불가피한 제약이 따를 때 비공개로 진행한 것”이라며 “불통은 원인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지 못해 발생한 오해이고, 의회나 도민과의 대화 의지는 누구보다 강하다”고 말했다.

창원=강종효 기자 k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