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5일에 이어 6일에도 오후 늦게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한 것 외에 공식 일정을 잡지 않았다. 당초 전날 오후 수석들한테 보고를 받으면서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한 7명의 장관 후보자에 대해 내일 오후 임명장 수여식을 준비해달라”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날 아침 생각을 바꿔 “보류해달라”고 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조직 개편안 여야 대치로 국정 파행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장관 임명장 수여보다는 당장 민생 챙기기가 시급하다고 보고 수석비서관들한테 이 문제에 우선적으로 대응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에 따라 매일 허태열 비서실장 주재로 수석비서관들이 참석하는 ‘일일 상황점검회의’를 열어 국정운영이 정상화될 때까지 각 수석이 해당 부처를 1 대 1로 책임지고 현안에 대응하는 비상체제를 가동하기로 했다.

윤창중 대변인은 이날 오전 허 실장 주재로 열린 수석비서관 회의 브리핑에서 “정부조직법 개편안 처리 지연과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 지연으로 인해 정상적 국정수행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판단했다”며 “비상시국이라는 인식과 자세를 갖고 국정 공백의 최소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일일 상황점검회의를 비서실장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 형태로 당분간 매일 개최한다”며 “오전 8시 비서실장, 수석 전원, 대변인이 참석한 가운데 일일 국정상황을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각 수석비서관실은 해당 비서관이 부처를 1 대 1로 책임지고 현안에 대응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국정기획수석실은 총리실로부터 각 부처 상황 종합자료를 받아 재점검한 뒤 매일 수석회의에 보고하고, 부처 점검이 필요하면 각 부처 기조실장으로 구성된 국정과제 전략협의회를 활용하도록 했다.

윤 대변인은 “총리실은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국정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력 대응하기로 했고, 청와대는 일일상황을 보고받아 종합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