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 기업의 임원 4명 가운데 1명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경영진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중국, 낮은 나라는 일본인 것으로 집계됐다.

영국의 회계법인 그랜트손턴은 세계 44개국 주요 기업의 임원 구성 남녀비율을 조사한 결과 여성 비중이 24%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의 21%와 2011년의 20%에 비해 높아진 것이다. 그랜트손턴은 유엔이 제정한 여성의 날(3월8일)을 맞아 매년 이 같은 조사를 발표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중국 기업들의 여성 임원비중이 51%로 가장 높았다. 폴란드(48%) 라트비아(43%) 에스토니아(40%) 리투아니아(40%) 등 동구권 국가들이 뒤를 이었다. 선진국 중에서는 독일(31%) 프랑스(26%)는 세계 평균보다 높은 반면 미국(20%) 영국(19%)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일본은 여성 임원 비중이 7%에 불과해 조사대상 44개국 중 꼴찌였다. 한국은 조사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지난해 말 현재 한국 10대그룹의 여성 임원 비중이 불과 1.5%(기업 평가사이트 CEO스코어 집계)에 그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추정된다.

세계 각국 기업의 최고경영자(CEO)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9%에서 올해 14%로 높아졌다. 포천지 선정 500대 기업 중 여성 CEO는 21명으로 4.2%에 불과하다. 여성들이 CEO가 되기 전에 맡은 직책은 재무(31%) 인사(30%) 감사(14%) 마케팅(13%) 순이었다.

그랜트손턴은 “한국에서 첫 여성 대통령이 당선되는 등 올해 17개국에서 여성이 대통령 또는 내각 수반인 총리를 맡고 있다”며 “‘여성이 모든 것을 할 수는 없다’는 인식도 점차 바뀌고 있다”고 설명했다.

베이징=김태완 특파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