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공격 받은 北…남한에 화풀이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동신문 홈피 등 먹통 "적대세력 비열한 행위"
북한이 최근 대대적인 사이버 공격을 받아 주요 사이트의 인터넷 접속이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남북간 긴장이 고조된 상태에서 발생한 데다 북한은 이 공격의 배후로 남한과 미국을 지목하고 있어 향후 남북관계에 미칠 파장이 주목된다.
정보당국자는 이날 “북한의 인터넷망 전체가 공격당해 13일 낮 12시부터 인터넷이 불통 상태가 됐다”고 말했다. 이 공격으로 북한의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 등 주요 인터넷 홈페이지의 접속이 차단됐으며 14일 늦은 오후에야 복구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논평을 내고 “북한에서 운영되고 있는 인터넷 서버들에 대한 집요한 바이러스 공격이 연일 감행되고 있다”며 “적대세력의 비열한 행위”라고 비난했다. 사실상 한·미를 공격 주체로 지목한 것이다. 이 같은 북측의 주장에 대해 정부는 “우리 정부와의 연관성이 없다”고 일축했다.
정보당국자는 “북한 외부의 제3국에서 인터넷망을 공격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공격의 주체와 장소는 더 추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정보당국자는 이날 “북한의 인터넷망 전체가 공격당해 13일 낮 12시부터 인터넷이 불통 상태가 됐다”고 말했다. 이 공격으로 북한의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 등 주요 인터넷 홈페이지의 접속이 차단됐으며 14일 늦은 오후에야 복구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논평을 내고 “북한에서 운영되고 있는 인터넷 서버들에 대한 집요한 바이러스 공격이 연일 감행되고 있다”며 “적대세력의 비열한 행위”라고 비난했다. 사실상 한·미를 공격 주체로 지목한 것이다. 이 같은 북측의 주장에 대해 정부는 “우리 정부와의 연관성이 없다”고 일축했다.
정보당국자는 “북한 외부의 제3국에서 인터넷망을 공격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공격의 주체와 장소는 더 추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