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기 "우리 땐 먹고살기 급해 엔지니어 더 중요…이젠 기초과학…아들도 미생물학 전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문기 미래부 장관 후보자 인터뷰
삼성, 인문계생에 SW 가르쳐…컴퓨터 코딩은 이제 필수
방송 모른다는 걱정은 기우…통신과 기술적 부분 같아
삼성, 인문계생에 SW 가르쳐…컴퓨터 코딩은 이제 필수
방송 모른다는 걱정은 기우…통신과 기술적 부분 같아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는 토요일인 16일 서울 수송동 코리안리 빌딩에 마련한 임시 사무실로 출근했다. 흰 와이셔츠에 검은색 양복을 입은 그는 이날 교육과학기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에서 파견 나온 비서실 직원들에게 간단한 업무보고를 받고 현황을 파악했다.
인터뷰는 이날 10~20분씩 여섯 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오전 9시께 사무실에 도착한 그는 이후 화장실에 가거나 담배를 피우기 위해 한두 시간에 한 번꼴로 사무실 밖에 나왔다. 처음에는 “인사청문회가 끝나고 (장관에) 임명된 뒤 시간을 마련할 테니 그때 자세히 얘기하자”며 말을 아끼더니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그는 점심을 사무실에서 도시락으로 해결했고, 오후 4시 넘어 퇴근했다.
▷방송을 잘 모른다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방송과 통신은 기술적인 부분이 똑같다. 통신이 방송을 하고, 방송은 디지털로 전환하면서 상호작용이 가능해졌다. 통신은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반면 방송은 그렇지 않고, 서로의 이해관계가 다르다는 차이 정도만 있다.”
▷김종훈 전 후보자와는 예전부터 알았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비동기전송모드(ATM)로 통신장비 시제품을 완성했을 때였다. 청와대에서 연락이 왔는데, 미국에서 한국 사람이 비슷한 장비를 만들어 상용화까지 했다고 말했다. 그게 김종훈 박사였다. 세계에서 가장 빨랐다는 우리보다도 1년이나 먼저다. 큰 회사도 아니고 ‘유리시스템즈’라는 벤처기업이어서 더욱 놀랐던 생각이 난다. 그 뒤 서울 상암동에 있는 서울벨연구소와 ETRI가 ‘코히어런트 트랜스미션’이라는 차세대 광통신기술을 개발하기로 협약을 맺을 때 본 적 있다. 개인적인 친분은 없다.”
▷김 전 후보자가 창조경제 보고서를 만들어놓고 떠났다는데.
“나는 지금 하루밖에 안 됐다. 아이디어는 직원들에게 남아 있겠지만 보고서가 있는지는 모르겠다.”
▷ETRI 원장으로 있을 때 ‘이지(easy)IT’ 시리즈(책)를 많이 펴냈다.
“이공 계통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어렵게 이야기해도 다 알아듣는다. 문제는 일반인들이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한다. 상대편 머릿속까지 생각해서 말해야 하니까 연구만큼 어려운 일이다. 국민에게 쉽게 알리기 위해 ‘이지 IT’ 시리즈를 냈다.”
▷삼성그룹이 인문계생을 뽑아 소프트웨어를 가르친다고 한다.
“요즘은 대학에 복수전공이 있어 배우고 싶은 것을 융합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학생들도 할 만하다고 말한다. KAIST에 들어오는 학생들은 두 부류다. 하나는 적성에 맞아서 오는 친구들과 또 하나는 과학고에 발을 잘못 들여놓았다가 점수 따라오는데, 인문사회적 감수성이 있는 애들이 꽤 있다. 그런 학생들은 경영대나 문화기술(CT)대에서 수업을 많이 듣는다. 경영학과 학생들도 제법 많이 수업을 들으러 온다. 컴퓨터 코딩은 C언어든 무엇이든 이제 다 생활이 됐다.”
▷장남이 생물학을 전공했다고 들었다.
“학부에서 미생물학을 전공한 뒤 대학원에서 바이오메디컬을 공부했다. 지금은 미국 뉴욕대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고 있다. 엄마(아내)는 의과대학으로 가라고 자꾸 꾀었는데 자기(장남)가 과학고를 다니더니 의대 안 간다고 선언했다. 나도 과학자가 돼라고 했다. 우리 시대는 먹고살기 급해 엔지니어가 중요했지만 이제는 기초과학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둘째 아들은 경영학을 공부했고 지금은 기업에 취직했다.”
▷자녀가 스스로 진로를 정했나.
“나는 (장남이) 의대에 진학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간섭하지도 않았다. 애들이 무엇을 하겠다고 하면 내버려둔다. 내가 못해봤기 때문에 이런 걸 해봐라, 이런 방향으로 가라는 얘기를 하지 않는다. 부모 중에 15년 앞을 내다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김보영/임근호 기자 wing@hankyung.com
인터뷰는 이날 10~20분씩 여섯 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오전 9시께 사무실에 도착한 그는 이후 화장실에 가거나 담배를 피우기 위해 한두 시간에 한 번꼴로 사무실 밖에 나왔다. 처음에는 “인사청문회가 끝나고 (장관에) 임명된 뒤 시간을 마련할 테니 그때 자세히 얘기하자”며 말을 아끼더니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그는 점심을 사무실에서 도시락으로 해결했고, 오후 4시 넘어 퇴근했다.
▷방송을 잘 모른다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방송과 통신은 기술적인 부분이 똑같다. 통신이 방송을 하고, 방송은 디지털로 전환하면서 상호작용이 가능해졌다. 통신은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반면 방송은 그렇지 않고, 서로의 이해관계가 다르다는 차이 정도만 있다.”
▷김종훈 전 후보자와는 예전부터 알았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비동기전송모드(ATM)로 통신장비 시제품을 완성했을 때였다. 청와대에서 연락이 왔는데, 미국에서 한국 사람이 비슷한 장비를 만들어 상용화까지 했다고 말했다. 그게 김종훈 박사였다. 세계에서 가장 빨랐다는 우리보다도 1년이나 먼저다. 큰 회사도 아니고 ‘유리시스템즈’라는 벤처기업이어서 더욱 놀랐던 생각이 난다. 그 뒤 서울 상암동에 있는 서울벨연구소와 ETRI가 ‘코히어런트 트랜스미션’이라는 차세대 광통신기술을 개발하기로 협약을 맺을 때 본 적 있다. 개인적인 친분은 없다.”
▷김 전 후보자가 창조경제 보고서를 만들어놓고 떠났다는데.
“나는 지금 하루밖에 안 됐다. 아이디어는 직원들에게 남아 있겠지만 보고서가 있는지는 모르겠다.”
▷ETRI 원장으로 있을 때 ‘이지(easy)IT’ 시리즈(책)를 많이 펴냈다.
“이공 계통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어렵게 이야기해도 다 알아듣는다. 문제는 일반인들이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한다. 상대편 머릿속까지 생각해서 말해야 하니까 연구만큼 어려운 일이다. 국민에게 쉽게 알리기 위해 ‘이지 IT’ 시리즈를 냈다.”
▷삼성그룹이 인문계생을 뽑아 소프트웨어를 가르친다고 한다.
“요즘은 대학에 복수전공이 있어 배우고 싶은 것을 융합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학생들도 할 만하다고 말한다. KAIST에 들어오는 학생들은 두 부류다. 하나는 적성에 맞아서 오는 친구들과 또 하나는 과학고에 발을 잘못 들여놓았다가 점수 따라오는데, 인문사회적 감수성이 있는 애들이 꽤 있다. 그런 학생들은 경영대나 문화기술(CT)대에서 수업을 많이 듣는다. 경영학과 학생들도 제법 많이 수업을 들으러 온다. 컴퓨터 코딩은 C언어든 무엇이든 이제 다 생활이 됐다.”
▷장남이 생물학을 전공했다고 들었다.
“학부에서 미생물학을 전공한 뒤 대학원에서 바이오메디컬을 공부했다. 지금은 미국 뉴욕대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고 있다. 엄마(아내)는 의과대학으로 가라고 자꾸 꾀었는데 자기(장남)가 과학고를 다니더니 의대 안 간다고 선언했다. 나도 과학자가 돼라고 했다. 우리 시대는 먹고살기 급해 엔지니어가 중요했지만 이제는 기초과학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둘째 아들은 경영학을 공부했고 지금은 기업에 취직했다.”
▷자녀가 스스로 진로를 정했나.
“나는 (장남이) 의대에 진학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간섭하지도 않았다. 애들이 무엇을 하겠다고 하면 내버려둔다. 내가 못해봤기 때문에 이런 걸 해봐라, 이런 방향으로 가라는 얘기를 하지 않는다. 부모 중에 15년 앞을 내다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김보영/임근호 기자 w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