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날씨·관광정보 누구나 쉽게 쓴다
행정안전부는 공공 정보를 쉽게 내려받을 수 있는 ‘국가공유자원포털’(www.data.go.kr·사진) 사이트를 18일 공식 개설했다. 이 사이트를 이용하면 국민 누구나 △공공정책 △교통 △기상 △항공 운항 △농수산물 가격 △국내 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열람하고 활용할 수 있다. 국가가 보유한 정보를 민간에 개방해 가치를 공유하자는 취지다.

◆‘공공 빅데이터’ 활용 가능

국가공유자원포털 사이트는 국가의 과학·학술·문화 정보를 제공하던 ‘국가지식포털’ 사이트와 기업에 공공정보 활용 방법을 알려주던 ‘공공정보 활용지원센터’ 사이트 등을 합쳐 만들었다. 국가가 제공하는 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하고 내려받을 수 있게 했다. 대우정보시스템 컨소시엄이 지난해 12월 만들어 지난달까지 안정화 기간을 거쳤다.

행안부는 사이트 개설뿐 아니라 지난 11일 22종의 공공정보도 추가 개방했다. 통계청이 조사한 국가통계 정보와 한국관광공사가 제공하는 국내 관광 정보 등으로 이미 개방된 정보와 합치면 총 35종이다. 각 정보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 개발에 바로 쓸 수 있도록 ‘오픈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행정 정보 ‘개인화’ 시대

행안부와 서울시 경기도 등이 점진적으로 추진해오던 공공정보 개방이 급물살을 탄 것은 새 정부가 내건 ‘정부 3.0’ 공약 때문이다. 정부 3.0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던 ‘정부 1.0’에서 쌍방향 소통이 가능해진 ‘정부 2.0’을 거쳐 국민 개개인에게 맞춤형 행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화한 새로운 정부 형태다.

정부 3.0의 세부 과제는 △국민과 소통하는 투명한 정부 △새로운 미래를 선도하는 유능한 정부 △국민 중심의 서비스 정부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밑바탕이 ‘공공정보 개방’이다.

행안부는 새 정부에서 정부 3.0 전담 조직을 꾸릴 예정이다. 이를 위해 이달 초 정보화전략실 인원 3명과 제도정책관 17명 등 20여명 규모의 ‘정부 3.0 태스크포스(TF)’ 팀을 만들었다. 이 팀은 국정과제를 분석하고 국토부 기상청 경찰청 등으로 이뤄진 ‘공공정보개방협의체’, ‘코드나무’ ‘앱센터운동본부’ 등 비영리단체와 협의해 추가 개방할 정보의 내용과 폭을 결정하게 된다.

◆법안 처리 시급

조문준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자원기획부 책임자는 “지난해 2600여곳의 오픈API 신청이 몰렸다”며 “‘오늘의출퇴근’ 앱이 교통 정보와 날씨 정보를 활용하고 ‘댐과호수여행’ 앱이 수자원공사에서 제공하는 댐 관광지 정보를 알려주는 등 민간 개발자들이 다양한 정보를 받아 쓰고 있다”고 했다.

공공정보 활용이 활성화되려면 국회에 계류돼 있는 ‘공공정보 제공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통과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행안부 한국정보화진흥원 등 담당부처 관계자들은 “해당 법률이 통과되면 정보 개방이 의무화되는 만큼 협업이 쉬워진다”고 말했다.

미국처럼 정부 부처 안에서부터 공공정보 활용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양석원 코업 대표는 “미국 정부는 공공정보 개방 전담 사이트(data.gov)를 열고 지리정보 의료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지만 외부 제공에 머무르지 않는다”며 “이미 쌓인 정보를 활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처음부터 활용하기 쉽게 (정보) 형식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