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도층 인사가 건설사 대표로부터 강원도의 한 별장에서 성접대를 받았다는 의혹과 관련, 정부 고위직 인사와 대형병원 원장 등 확인되지 않은 사건 관련자들의 실명이 거론되는 등 사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아직은 경찰의 내사 단계에서 나온 ‘카더라’ 식의 풍문이지만 성 상납을 대가로 유력 인사들이 불법으로 이권에 개입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대형 스캔들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

19일 건설사 대표로 성 상납을 한 혐의를 받고 있는 A씨(51)의 친구 등에 따르면 그는 2000년대 중반 건설시행업을 통해 큰돈을 번 재력가로 알려졌다. A씨는 해병대 출신으로 자기 소유 별장에서 매년 봄 해병대 동기들과 모임도 가져온 것으로 전해졌다. A씨가 어려운 지인들의 사업자금 등을 빌려주며 신뢰를 쌓았고, 겸손한 편이어서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고 주변 사람들은 말했다.

그러나 A씨는 최근 건설 경기가 악화되면서 현금 유동성이 부족해졌고, 2010년 9월엔 서울 동대문의 한 건물을 시행하면서 투자자들의 돈 70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검찰에 고소를 당했다. 고위층 인사 대상 성 접대 장소로 알려진 별장도 이 시기에 경매로 넘어갔다. 이후 개인 사업가 B씨가 A씨를 서울 서초경찰서에 고소한 사건도 일어났다. B씨는 A씨에게 빌려준 돈 15억원을 갚으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A씨는 최음제를 먹이고 B씨를 성폭행한 동영상을 보여주며 이를 공개하겠다고 협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A씨가 모 병원의 신축 공사를 맡으면서 해당 병원장과 급속도로 친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병원장은 자신이 평소 알고 지내던 주요 인사들을 소개시켜줬고, 이들과 몇 차례에 걸쳐 모임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확인되지 않은 소문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뒤늦게 내사에 착수한 경찰도 신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고위 인사가 개입된 호젓한 별장에서의 성 상납’이라는 소재가 파급력이 워낙 커 온갖 억측이 난무하고 있다”며 “내사 과정에서 범죄와 관련된 확인 사실이 나와야 수사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김우섭/박상익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