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20일 일부 방송사와 금융사 전산망이 마비된 사태와 관련, 원인 파악에 나섰다.

김행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긴급 브리핑을 하고 “현재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내정자가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상황실을 중심으로 상황을 파악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 내정자는 국가위기관리상황실을 가동해 국방부와 국가정보원, 경찰 등 유관 부서에서 피해 상황과 원인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보고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변인은 또 “김 내정자가 최순홍 미래전략수석과 국가안보실 산하 국제협력·위기관리·정보융합 비서관 등 관련 비서관을 불러 대처 방안 등에 대한 긴급 회의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번 사태의 원인이 북한의 사이버테러일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단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테러 근거지에 대해서도 “아직 모른다”고 답했다.

한편 국방부는 이날 군의 정보작전방호태세인 ‘인포콘(INFOCON)’을 한 단계 격상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김관진 국방장관 주관으로 민간전산망 마비 상황평가 회의를 했다”며 “오후 3시10분에 인포콘을 4단계에서 3단계로 올렸다”고 발표했다. 합참의장이 발령하는 인포콘은 5(평시 준비태세), 4(증가한 군사경계), 3(향상된 준비태세), 2(강화된 준비태세), 1(최상의 준비태세) 등 다섯 단계로 구분돼 있다.

김 대변인은 “현재 군 전산망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군 전산망 해킹을 위한) 외부 공격 시도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 소행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예단하기도 어렵다”며 “원인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g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