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성실하게 준비하던 30세 청년이 퇴근길 교통사고로 뇌사상태에 빠져 6명에게 새 삶을 선물하고 하늘의 별이 됐다.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지난해 12월 20일 원광대학교병원에서 기증자 조석원(30·남)씨가 가족 동의 뇌사 장기기증으로 심장, 간장(분할), 폐장, 신장(양측)을 기증해 6명의 생명을 살렸다고 6일 밝혔다.같은 병원 방사선과에서 근무하던 조씨는 지난해 12월 13일 병원 근무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보행자 교통사고로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어 의료진이 치료에 총력을 다했으나, 결국 의식을 회복하지 못했다.조씨의 가족들은 젊은 나이에 갑작스럽게 떠나게 된 것에 대해 너무 큰 아픔이지만, 누군가를 위해 생명을 나누고 간다는 것에 큰 의미를 가지고 장기기증을 결정했다고 한다. "비록 석원이는 떠나지만, 어딘가에서 살아있을 것이라는 사실에 위로를 받는다"고 했다.전라북도 군산에서 2남 1녀 중 둘째로 이란성 쌍둥이로 태어난 조씨는 어린 시절부터 아르바이트 등을 통해 본인의 생활을 책임졌으며, 늘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성실한 청년으로 기억된다. 어린 시절에는 프로게이머를 꿈꿨다가, 공부를 시작해 대학교에서 방사선과를 졸업하고 원광대학교병원 방사선과에서 근무했다.원광대학교병원에서는 함께 근무했던 조 씨의 마지막을 같이 하고, 기증자의 숭고한 생명나눔에 감사함을 전하고자 '울림길'을 진행했다. 울림길은 장기기증자의 마지막 길에 의료진들이 자발적으로 나와 존경과 감사의 마음으로 추모하는 의식이며, 해외에서는 '아너 워크(Honor Walk)'라고 불린다.조씨의 누나 조은빈씨는 "석원아. 더 재밌고 즐겁게 지
윤석열 대통령이 6일 탄핵 심판에 출석하기 위해 헌법재판소에 도착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1일과 23일, 이달 4일에 이어 네 번째로 탄핵 심판에 직접 출석한다.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40분께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호송차를 타고 출발해 오전 9시4분께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 도착했다.헌재는 오전 10시부터 대통령 탄핵 심판 사건 6차 변론기일을 연다.헌재는 증인으로 출석한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과 김현태 육군 707 특수임무단장,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 등 3명에 대한 증인신문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곽 전 사령관은 지난 4일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 출석해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 대통령으로부터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밝혔다.그는 "대통령이 저한테 직접 비화폰(보안 휴대전화)으로 전화해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김 단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당일 707특임단 병력과 함께 헬기로 국회에 도착해 본회의장 진입을 지휘한 인물로, 계엄 해제 후 곽 전 사령관 지시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윤 대통령 측 신청으로 채택된 박 수석은 지난해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감액된 정부 예산안 처리 관련 증언을 할 전망이다.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
서울 강남구(구청장 조성명)가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비만율(24.1%)과 현재 흡연율(10.8%)이 서울시 자치구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6일 밝혔다.지역사회건강조사는 전국 258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식생활, 만성질환 등의 건강 지표를 분석해 지역 보건정책 수립에 활용하는 조사다.강남구는 지난해 5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질병관리청 및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19세 이상 구민 91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추출된 지표를 바탕으로 서울시·전국 평균 대비 양호, 동일, 개선필요로 나눠 분석했다.가장 우수한 지표는 비만율과 현재흡연율이다. 비율이 낮을수록 건강을 위한 체중 관리가 잘 이뤄지고 있으며 흡연자가 적다는 것을 보여준다.강남구의 비만율(체질량지수 25 이상)은 24.1%로, 지난해 27.5%에서 3.4%포인트 감소하며 서울시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동시에 연간 체중조절 시도율은 72.6%로 서울 자치구 중 가장 높았다. 고혈압(18.4%) 및 당뇨병(7.4%) 진단 경험률 또한 서울 평균 대비 낮아, 구민의 건강관리 수준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됐다.현재흡연율 또한 10.8%로 전년도 14.3% 대비 3.5%포인트 감소했으며, 이는 2위 자치구(11.6%)와도 0.8%포인트 차이를 보이며 25개 자치구 중 가장 낮았다. 금연, 절주, 걷기실천율을 모두 포함하는 건강생활실천율은 51.9%로 전년 대비 2.9%포인트 증가했으며, 스트레스 인지율 또한 24.5%로 전년도 29%에서 4.5%포인트 개선됐다.반면, 서울시 평균보다 저조해 개선이 필요한 지표에는 월간 음주율(59.7%), 걷기 실천율(61.7%), 우울감 경험률(8.4%) 등이 있다. 걷기실천율은 2022년 61.5%에서 2023년 60.3%로 소폭 감소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