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계파 정세균 '중립' 결정…민주 대표, 커지는 김한길 대세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비주류로 권력교체 주목
이용섭·강기정 출마…범주류 단일화 가능성도
이용섭·강기정 출마…범주류 단일화 가능성도
민주통합당 대표 및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5·4 전국대의원대회는 김한길 대 반김한길 경쟁 구도로 흐르고 있다. 비주류 좌장 격인 김한길 의원에 맞서 범주류 측에선 이용섭·강기정 의원이 출마를 공식화했고 이목희·추미애 의원 등이 출마를 놓고 막판 고심 중이다.
김 의원은 ‘계파정치 청산’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는 25일 MBC 시선집중에 출연해 “당의 얼굴이 바뀌는 것만으로도 민주당이 변화를 수용하고 있다는 것을 국민들께 알릴 수 있다”며 ‘인적쇄신’을 강조했다.
나머지 주자들은 당 혁신론으로 김 의원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이 의원은 김 의원의 ‘인적쇄신론’에 대해 “조직의 시스템과 관행을 바꾸는 게 혁신이지 사람만 바꾼다고 혁신이 되느냐”라고 정면 비판했다. 김 의원이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의 지지세력을 끌어안는 ‘야권 재구성’을 언급한 것에 대해서도 “순서가 틀렸다”며 “민주당 혁신이 먼저고 그 뒤에 안 전 교수에게 입당을 제안하겠다”고 말했다.
범주류 주자들이 반김한길 구도로 단일화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지만 ‘김한길 대세론’을 꺾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당 안팎의 관측이다.
여기엔 당내 가장 큰 계파를 형성하고 있는 정세균 의원이 중립입장을 취하고 있는 게 크게 작용하고 있다. 정 의원 측 핵심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정 의원은 이번 전대가 주류 대 비주류 구도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어느 한쪽에 힘을 실어주기보단 중간자적 역할을 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물론 여기엔 주류 주자 중 누구로 단일화가 돼도 ‘김한길 대세론’을 꺾기는 쉽지 않다는 계산도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동영·김부겸 전 의원 등 중량급 인사들의 불출마도 ‘김한길 대세론’으로 흐르는 데 한몫했다는 게 김 의원 측 설명이다.
전대 구도가 비주류에 유리하게 흘러가는 분위기인 반면 ‘2라운드’인 원내대표 경선은 범주류 주자들이 주도할 전망이다. 현재 원내대표 주자로 거론되는 우윤근, 전병헌, 유인태 의원은 모두 범주류에 속한다.
한 핵심 관계자는 “전대가 주류 대 비주류 구도로 치러지는 만큼 원내대표 경선은 계파구도가 옅어질 것”이라며 “의원 간 친분 관계나 인물론이 주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김 의원은 ‘계파정치 청산’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는 25일 MBC 시선집중에 출연해 “당의 얼굴이 바뀌는 것만으로도 민주당이 변화를 수용하고 있다는 것을 국민들께 알릴 수 있다”며 ‘인적쇄신’을 강조했다.
나머지 주자들은 당 혁신론으로 김 의원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이 의원은 김 의원의 ‘인적쇄신론’에 대해 “조직의 시스템과 관행을 바꾸는 게 혁신이지 사람만 바꾼다고 혁신이 되느냐”라고 정면 비판했다. 김 의원이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의 지지세력을 끌어안는 ‘야권 재구성’을 언급한 것에 대해서도 “순서가 틀렸다”며 “민주당 혁신이 먼저고 그 뒤에 안 전 교수에게 입당을 제안하겠다”고 말했다.
범주류 주자들이 반김한길 구도로 단일화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지만 ‘김한길 대세론’을 꺾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당 안팎의 관측이다.
여기엔 당내 가장 큰 계파를 형성하고 있는 정세균 의원이 중립입장을 취하고 있는 게 크게 작용하고 있다. 정 의원 측 핵심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정 의원은 이번 전대가 주류 대 비주류 구도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어느 한쪽에 힘을 실어주기보단 중간자적 역할을 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물론 여기엔 주류 주자 중 누구로 단일화가 돼도 ‘김한길 대세론’을 꺾기는 쉽지 않다는 계산도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동영·김부겸 전 의원 등 중량급 인사들의 불출마도 ‘김한길 대세론’으로 흐르는 데 한몫했다는 게 김 의원 측 설명이다.
전대 구도가 비주류에 유리하게 흘러가는 분위기인 반면 ‘2라운드’인 원내대표 경선은 범주류 주자들이 주도할 전망이다. 현재 원내대표 주자로 거론되는 우윤근, 전병헌, 유인태 의원은 모두 범주류에 속한다.
한 핵심 관계자는 “전대가 주류 대 비주류 구도로 치러지는 만큼 원내대표 경선은 계파구도가 옅어질 것”이라며 “의원 간 친분 관계나 인물론이 주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