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가 27일 4대강 공사에 대한 추가 담합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조사에 나섰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6월 19개 건설사의 1차 턴키 공사 과정의 담합 적발에 이은 것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날 두산건설, 한진중공업, 삼환기업, 한라건설, 계룡건설 등 5개 건설사에 직원들을 급파해 현장조사를 벌였다. 조사는 이날 오전 4~5시간 동안 이뤄졌다. 관련부서 직원들의 개인용 컴퓨터(PC)를 샅샅이 뒤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5개 건설사는 모두 4대강 2차 턴키사업에 컨소시엄 주관사 등으로 참여했다. 보(洑)를 건설하는 1차 턴키공사는 주로 대형 건설사들이 맡았다. 하천환경정비와 준설 공사가 주를 이루는 2차 턴키공사는 중견 건설사들이 수주했다.

금강 1공구 사업은 계룡건설 컨소시엄, 낙동강 17공구는 한진중공업 컨소시엄, 낙동강 25공구는 삼환기업 컨소시엄이 각각 낙찰받았다.

공정위는 지난해 4대강 1차 턴키공사 입찰과 관련해 19개 건설사의 밀약을 적발, 6개 대형 건설사에 111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나머지 업체에 시정명령을 내렸다.

이번 조사는 1차 때와는 기류가 판이하게 다르다. 새 정부 내부에서 4대강 사업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공정위와 별도로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도 4대강 사업을 점검하기로 했다. 서승환 국토부 장관은 최근 “4대강 사업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필요시 보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도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수질오염 문제를 객관적으로 재평가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