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란 특별한 의미를 만드는 일
이현종 HS애드 대표크리에이티브디렉터 jjongcd@hsad.co.kr
그도 그럴 것이 인디언 입장에서 보면 참으로 황당한 사건이고, 허무맹랑한 날조가 아닐 수 없다. 이미 수천, 수만년을 경작하고 있던 땅에 들어와 오순도순 살던 사람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신대륙의 발견이라고 축하해 마지 않는 것은 예의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 정도면 한 주(州) 정도는 뚝 떼어서 인디언들에게 줄 법도 한데 말이다.
꽃샘추위에 오들오들 떨다 들어와 차 한잔 마시는데, 갑자기 인디언서머라는 단어가 떠올랐다가, 그만 생각이 미친 말처럼 북아메리카 대평원까지 내달려버렸다. 실은 꽃샘추위라는 말이 예쁘기도 하거니와, 추위가 가시지 않은 한낱 봄바람을 이렇게 언어화하는 사람들의 심사가 참으로 궁금하던 차, 인디언서머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어떻게 보면 완전히 다른 시점에 대한 비유인데, 언어를 통해 의미와 감정을 교환하고 싶어하는 인간의 마음은 동이나 서나 매한가지인 것 같아 호기심이 발동한다.
꽃샘추위가 뾰로통한 입술이라면 인디안서머는 기대고 싶은 어깨다. 꽃샘추위가 뜻밖의 태클이라면 인디안서머는 뜻밖의 행운이다. 꽃샘추위가 신고식이라면 인디안서머는 환송회다. 꽃샘추위가 그래도 기쁨이라면 인디안서머는 그래도 슬픔이다. 어쨌든 꽃샘추위나 인디안서머나 생각해보면 아무것도 아닐 수 있는 그 무엇인데, 생명이 생기고 의미가 생기고 이야기가 생기게 되었으니, 언어의 힘이란 놀라울 따름이다.
가끔 광고업계 사람들이나 후배들과의 술자리에서 이런 말을 할 때가 있다. “내가 생각하는 진짜 광고의 신은 말이야, 저 죽부인이라는 말을 만들어 낸 사람이야. 봐, 그냥 대나무 통발에 불과한 놈한테 존재의 의미를 만들어줬으니 말이야.”
광고는 어떤 관점에서 잊히지 않는 의미를 만드는 일이다. 아무것도 아닌 것을 특별한 것으로 만들기이며, 보이지 않던 것을 보이게 만들기이며, 어제까지 아무 관계도 없던 것들을 지금부터는 없어선 안 될 관계로 만드는 일이다.
이현종 < HS애드 대표크리에이티브디렉터 jjongcd@hsad.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