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택시장 활성화 종합대책을 발표한 가운데 은행주(株)를 주목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늘어나 은행들의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주택가격 하락세가 주춤하면서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완화, 은행주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란 분석도 우세하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가 전날 내놓은 부동산 종합대책은 주택 공급물량을 조절하고, 세제와 금융, 청약제도 개선을 통해 유효수요를 창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우스푸어와 렌트푸어 지원 방안과 서민 주거복지를 강화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심규선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부동산 활성화 대책으로 부동산 시장 회복을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며 "부동산 시장이 개선될 경우 전체 은행권 대출의 30%, 가계대출 중 68%를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의 수요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고 진단했다.

심 애널리스트는 "수요 증가에 따라 은행들의 수익성 개선도 기대할 수 있다"며 "기업대출과 가계대출의 담보율을 개선시켜 자본안전성과 건전성비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총부채상환비율(DTI)과 담보가치인정비율(LTV)이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 한해서만 완화 적용된 점도 은행주에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했다.

최정욱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원칙적으로 DIT와 LTV 규제 완화가 제외되면서 금융기관 건전성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부각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최 애널리스트는 "현 정권 인수위원회에서는 주택담보대출 차주와 금융기관이 주택할인매각에 대한 손실을 분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었지만 이 방안이 제외된 만큼 은행주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도 분석했다.

한편, 하우스푸어와 렌트푸어 지원책에 관심을 가질 필요성도 제기됐다.

김두언 하나대투증권 애널리스트는 "부동산 수요와 직접적으로 연관 있는 하우스, 렌트 푸어의 리스크 완화 뿐만 아니라 가처분소득 대비 170%를 웃돌고 있는 국내 가계부채의 위험이 일정부문 경감되었다는 측면이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최 애널리스트는 "이번 부동산 종합대책이 거래활성화에 다소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적어도 주택가격 하락세는 크게 완화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컸던 은행주 투자심리 개선에 어느정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