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 '리모델링 효과'…호가 1000만원 상승
정부가 ‘4·1 부동산 대책’을 통해 ‘수직증축(층수 올리기) 리모델링’을 허용하기로 함에 따라 경기 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 등 수도권 1기 신도시에서 리모델링 기대가 확산되고 있다. 신도시 아파트는 지은 지 20년 안팎이어서 재건축 연한에 도달하지 못해 그동안 리모델링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정부가 오는 6월 말까지 수직증축 리모델링 세부 방안을 마련할 예정인 가운데 건설업계와 지방자치단체도 리모델링 활성화에 팔을 걷어붙였다.

◆수직증축 기대감에 바빠진 업계

9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4·1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리모델링 예정 단지는 물론 지자체 건설사 등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경기 분당신도시 매화마을 공무원 1단지 전용 59㎡ 매매가격은 3억1000만~3억2000만원으로 호가가 최근 1000만원가량 올랐다. 인근 신한공인 관계자는 “주인들이 급매물을 상당히 거둬들였다”며 “리모델링 기대감이 적지 않지만 정부 정책이 구체화되지 않아 거래는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상태”라고 말했다.

성남시 고양시 남양주 등 수도권 지자체는 리모델링 활성화 대책을 자체적으로 내놓고 있다. 리모델링 대상 단지가 10만가구를 웃도는 성남시는 사단법인 한국리모델링협회와 손잡고 공동주택 리모델링 여건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고양시도 일산신도시와 주변 노후단지에 대한 도시정비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했으며 남양주시는 리모델링 관련 조례를 만들 방침이다.

쌍용건설 삼성물산 현대건설 등은 침체된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대체할 분야로 리모델링 사업부문을 강화하고 나섰다. 쌍용건설은 인력도 보충하고 영업 대상도 수도권에서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산업개발 리모델링 관계자는 “1기 신도시가 건설된 지 20년이 지난 만큼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단지가 쏟아질 것”이라며 “주택시장이 침체된 가운데 헌 집을 새롭게 고치는 리모델링이 건설업계에 활력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상반기 입법화 토대 마련

국토교통부는 리모델링 추진 후 도시과밀이나 전세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자체별로 리모델링 기본 계획을 수립한 뒤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와 국토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다음달 말까지 운영할 ‘수직증축 리모델링 태스크포스(TF)’ 구성을 내부적으로 마쳤다. 건축구조, 도시관리 등과 관련된 학계·업계·연구소 관계자 20여명으로 구성된 TF는 오는 12일 1차 회의를 갖는다. 이와 함께 안전 및 과밀 해소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별도로 발주한다.

박승기 국토부 주택정비과장은 “앞으로 노후 공동주택이 급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수직증축 리모델링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동현/김진수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