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의 풍경] 집시가 된 현대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팜플로나AP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304/01.7343108.1.jpg)
집시는 원래 동유럽에서 온 떠돌이 집단을 뜻했지만 최근의 인류학적인 연구 결과 인도 북부의 자트족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 유럽 구석구석에 퍼져 부평초처럼 살아가는 그들이지만 지금도 자신의 뿌리를 잊지 않고 강물에 꽃을 띄우며 추모제를 지낸다.
집시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인종적 의미를 떠나 한곳에 머물지 못하고 끊임없이 옮겨 다니는 사람으로 그 의미를 넓혀나갔다. 한 발짝 더 나아가 사회시스템의 지속적인 변화로 끊임없이 변신해야 하는 현대인의 처지도 집시에 비유되고 있다. 우리들이 비하하고 홀대하던 집시가 우리의 처지가 될 줄 누가 알았을까. 현대사회가 만들어 낸 기막힌 역설이다.
정석범 문화전문기자 sukbum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