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굳건한 ‘안보 공조’ >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청와대를 예방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악수하고 있
다. 박 대통령과 케리 장관은 굳건한 한·미 동맹을 재확인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 굳건한 ‘안보 공조’ >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청와대를 예방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악수하고 있 다. 박 대통령과 케리 장관은 굳건한 한·미 동맹을 재확인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12일 “핵 없는 한반도를 위해 북한과 대화를 원한다”고 밝혔다. 한국을 방문한 케리 장관은 이날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회담한 뒤 연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케리 장관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땐 국제사회에서 더욱 고립될 것”이라며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책임 있는 지도력을 발휘해 올바른 판단을 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국제 의무 준수를 대화 조건으로 꼽았다. 케리 장관은 “국제적인 의무와 표준, 자신들이 수용한 약속을 받아들이고 비핵화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대화가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며 “대화를 위한 대화를 할 생각은 없다. 선택은 이제 김 위원장에게 달려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는 점도 재확인했다. 윤 장관도 우리 정부가 제의한 대화에 북한이 응할 것을 촉구했다.

윤 장관은 “북한이 도발로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케리 장관과의 면담에서 “도발엔 강력 응징하겠지만 북한이 대화의 장에 나오면 상호 신뢰를 쌓아 공동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