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바텍·CJ CGV, 실적 좋고 성장성 높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방송에서 못다한 이야기] 일목 이동웅 대표
PER·PBR 역사적 저평가
MSCI 경기선행지수 상승…코스피 상승 에너지 축적
나노신소재·컴투스 '매력'…LG디스플레이, 실적 탄탄
PER·PBR 역사적 저평가
MSCI 경기선행지수 상승…코스피 상승 에너지 축적
나노신소재·컴투스 '매력'…LG디스플레이, 실적 탄탄
외국인 매도세가 진정되면서 증시가 다소 회복되는 모습이다. 내리막길을 걷던 코스피지수는 1901까지 하락한 뒤 반등했고, 코스닥지수 역시 517를 지지선으로 올라섰다. 그러나 ‘북핵 리스크’와 엔화 약세라는 변수가 있는 만큼 시장 상황이 어떻게 흘러갈지는 예단하기 힘든 상황이다.
○보름 간격으로 변하는 장세
이번주에는 지켜봐야 할 이슈가 많다. 우선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내놓는 1분기 실적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외국인의 현물 및 선물 매수세가 지속될지 여부도 큰 관심사다.
국내 증시를 짓누르고 있는 ‘북핵 리스크’도 지켜봐야 한다. 북한 관련 악재가 노출되지 않는다면 북한 태양절(15일) 이후 매수세가 회복될 수 있다.
이런 장세에는 시장 및 종목에 대한 펀더멘털 분석을 토대로 시세 움직임을 읽어 변곡점을 찾아내는 ‘일목균형표 이론’이 유용할 수 있다. 최근 코스피지수는 15~20일 간격으로 시세가 움직이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3월6일 장중 한때 2033으로 고점을 찍은 뒤 3월22일 저점으로 떨어졌고, 소폭 반등한 뒤 4월9일에 다시 바닥으로 추락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이달 하순에 새로운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일목균형표 이론에 따라 언제 어느 가격에서 변곡점이 발생할지 그림을 그려보면 투자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KH바텍, CJ CGV 등 관심
최근 지수 하락에 따라 유가증권시장의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역사적인 저평가 영역으로 진입한 상태다. 여기에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경기선행지수도 5개월째 상승 중이다. 향후 장세를 ‘오른다’로 볼 수 있는 근거들이다. 하지만 북핵 리스크 등 변수가 많은 만큼 예측은 쉽지 않다.
올 들어 증시를 보면 우량 부품주와 정보기술(IT)주, 내수주 등이 시장을 이끌었다. 이로 인해 중소형 종목 중심인 코스닥시장이 유가증권시장보다 좋은 성적을 냈다. 특히 이엠텍 등 상당수 스마트폰 부품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앞으로 증시는 견고한 실적을 내면서 전후방 산업과 연관관계가 높은 업체들이 이끌 것으로 보인다. 이들 종목은 하락장에서도 상대적으로 괜찮은 성적을 냈다.
KH바텍이 대표적인 예다. 이 회사는 수율 개선에 힘입어 1분기에 좋은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분기부터 삼성전자 스마트폰인 ‘갤럭시S4’가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만큼 실적 개선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CJ CGV 역시 국내 영화시장 호조와 중국 베트남 등 해외시장 안착이란 호재에 힘입어 주가가 탄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 밖에 나노신소재와 컴투스도 눈여겨볼 만한 종목들이다.
대형주 중에서는 반도체 시황이 살아나면서 실적이 개선되고 있는 SK하이닉스를 주목해볼 만하다. LG디스플레이도 실적 개선을 토대로 좋은 주가 흐름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보름 간격으로 변하는 장세
이번주에는 지켜봐야 할 이슈가 많다. 우선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내놓는 1분기 실적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외국인의 현물 및 선물 매수세가 지속될지 여부도 큰 관심사다.
국내 증시를 짓누르고 있는 ‘북핵 리스크’도 지켜봐야 한다. 북한 관련 악재가 노출되지 않는다면 북한 태양절(15일) 이후 매수세가 회복될 수 있다.
이런 장세에는 시장 및 종목에 대한 펀더멘털 분석을 토대로 시세 움직임을 읽어 변곡점을 찾아내는 ‘일목균형표 이론’이 유용할 수 있다. 최근 코스피지수는 15~20일 간격으로 시세가 움직이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3월6일 장중 한때 2033으로 고점을 찍은 뒤 3월22일 저점으로 떨어졌고, 소폭 반등한 뒤 4월9일에 다시 바닥으로 추락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이달 하순에 새로운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일목균형표 이론에 따라 언제 어느 가격에서 변곡점이 발생할지 그림을 그려보면 투자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KH바텍, CJ CGV 등 관심
최근 지수 하락에 따라 유가증권시장의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역사적인 저평가 영역으로 진입한 상태다. 여기에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경기선행지수도 5개월째 상승 중이다. 향후 장세를 ‘오른다’로 볼 수 있는 근거들이다. 하지만 북핵 리스크 등 변수가 많은 만큼 예측은 쉽지 않다.
올 들어 증시를 보면 우량 부품주와 정보기술(IT)주, 내수주 등이 시장을 이끌었다. 이로 인해 중소형 종목 중심인 코스닥시장이 유가증권시장보다 좋은 성적을 냈다. 특히 이엠텍 등 상당수 스마트폰 부품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앞으로 증시는 견고한 실적을 내면서 전후방 산업과 연관관계가 높은 업체들이 이끌 것으로 보인다. 이들 종목은 하락장에서도 상대적으로 괜찮은 성적을 냈다.
KH바텍이 대표적인 예다. 이 회사는 수율 개선에 힘입어 1분기에 좋은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분기부터 삼성전자 스마트폰인 ‘갤럭시S4’가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만큼 실적 개선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CJ CGV 역시 국내 영화시장 호조와 중국 베트남 등 해외시장 안착이란 호재에 힘입어 주가가 탄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 밖에 나노신소재와 컴투스도 눈여겨볼 만한 종목들이다.
대형주 중에서는 반도체 시황이 살아나면서 실적이 개선되고 있는 SK하이닉스를 주목해볼 만하다. LG디스플레이도 실적 개선을 토대로 좋은 주가 흐름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