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미사일 위협] 남북 치열한 기싸움…대치 장기화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北, 우리측 대화 제의 일단 거부
靑 "유감" 표시는 대통령 뜻…김정은 태양절 발언 주목
靑 "유감" 표시는 대통령 뜻…김정은 태양절 발언 주목
한반도 긴장 해소를 위한 대화를 놓고 남북 간 기싸움이 치열해지고 있다. 북한이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에 대해 “교활한 술책”이라고 14일 비난하자 청와대는 “유감”이라고 답했다. 정부는 “아직까지 대화 제의는 유효하다”며 다시 한 번 공을 북측으로 넘겼다.
북한은 이날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대변인이 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을 통해 “남측의 대화 제의는 빈껍데기”라며 “대화가 이뤄지는가 마는가 하는 것은 전적으로 남조선 당국의 태도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이 내용이 공개되자 통일부는 당초 “발표 주체가 대남기구인 조평통이고 형식은 담화나 성명이 아니라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인 만큼 우리 대화 제의에 대한 1차적인 반응을 내놓은 것으로 평가한다”며 “앞으로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대화 제의를 전면적으로 거부하기보다는 대화의 주도권을 가져오기 위한 기싸움의 일환이라는 분석이다.
서보혁 서울대 교수는 “북한은 남한의 대화 제의를 지금 바로 받을 상황이 아니다”며 “박근혜정부 역시 구체적인 의제를 제시한 대화 제의가 아니었던 만큼 보다 구체적인 콘텐츠와 적극성을 갖고 대화에 전적으로 나서라며 공을 남측으로 넘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날 밤 상황이 바뀌었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긴급 입장발표에서 ‘조평통을 통해 발표된 내용’을 ‘대화 제의 거부’라고 규정했다. 여기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뜻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라고 청와대 측은 설명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대통령이 직접 뜻을 밝히고 미국도 동의한 무게 있는 대화 제의에 대해 북한이 찬물을 끼얹는 성의 없는 방식으로 답한 데 대해 매우 실망스럽다”며 불쾌함을 드러냈다.
그러면서도 대화 제의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우리 대화 제의의 진정성도 강조하고 다시 한 번 반복한다는 의미”라며 “판이 완전히 깨졌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결국 다시 한 번 공을 북한으로 넘긴 셈이다.
청와대가 직접 나서 “유감”을 표명함에 따라 북한의 다음 카드에 눈길이 쏠린다. 정부는 15일 김일성의 생일인 ‘태양절’을 맞아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대외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하고 있다. 5월 초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 역시 한반도 정세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봉조 전 통일부 차관은 “북한의 관심은 남한보다 미국이 대화에 나설지 여부인데, 존 케리 국무장관이 ‘비핵화를 전제로 한 대화 제의’에는 북측이 확신을 갖지 못할 것”이라며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미 대화 재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메시지가 나온다면 대화에 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의 대화 제의로 잠시 주춤했던 북한의 긴장고조 행보도 재개될 가능성이 커졌다. 북한은 한국 정부가 대북 대화를 제의한 11일 이후 무력도발을 직접 언급하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원산과 함경남도 지역의 노동·스커드 이동식 미사일 발사 차량(TEL) 다수가 11일부터 은폐와 노출 행동을 하지 않고 배치된 장소에 고정돼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화 제의에 대한 남북 간 반응이 충돌하면서 북한이 미사일 발사 준비 움직임을 재개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장용석 서울대 평화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금 상황에서는 북한이 미사일 발사 준비를 접을 명분이 없다”며 “김정은이 그간 이어온 위협적인 언사를 해왔고 ‘결단력 있는 지도자’라는 선전에 갇힐 수 있는 만큼 미사일 발사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고 지적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북한은 이날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대변인이 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을 통해 “남측의 대화 제의는 빈껍데기”라며 “대화가 이뤄지는가 마는가 하는 것은 전적으로 남조선 당국의 태도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이 내용이 공개되자 통일부는 당초 “발표 주체가 대남기구인 조평통이고 형식은 담화나 성명이 아니라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인 만큼 우리 대화 제의에 대한 1차적인 반응을 내놓은 것으로 평가한다”며 “앞으로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대화 제의를 전면적으로 거부하기보다는 대화의 주도권을 가져오기 위한 기싸움의 일환이라는 분석이다.
서보혁 서울대 교수는 “북한은 남한의 대화 제의를 지금 바로 받을 상황이 아니다”며 “박근혜정부 역시 구체적인 의제를 제시한 대화 제의가 아니었던 만큼 보다 구체적인 콘텐츠와 적극성을 갖고 대화에 전적으로 나서라며 공을 남측으로 넘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날 밤 상황이 바뀌었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긴급 입장발표에서 ‘조평통을 통해 발표된 내용’을 ‘대화 제의 거부’라고 규정했다. 여기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뜻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라고 청와대 측은 설명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대통령이 직접 뜻을 밝히고 미국도 동의한 무게 있는 대화 제의에 대해 북한이 찬물을 끼얹는 성의 없는 방식으로 답한 데 대해 매우 실망스럽다”며 불쾌함을 드러냈다.
그러면서도 대화 제의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우리 대화 제의의 진정성도 강조하고 다시 한 번 반복한다는 의미”라며 “판이 완전히 깨졌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결국 다시 한 번 공을 북한으로 넘긴 셈이다.
청와대가 직접 나서 “유감”을 표명함에 따라 북한의 다음 카드에 눈길이 쏠린다. 정부는 15일 김일성의 생일인 ‘태양절’을 맞아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대외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하고 있다. 5월 초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 역시 한반도 정세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봉조 전 통일부 차관은 “북한의 관심은 남한보다 미국이 대화에 나설지 여부인데, 존 케리 국무장관이 ‘비핵화를 전제로 한 대화 제의’에는 북측이 확신을 갖지 못할 것”이라며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미 대화 재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메시지가 나온다면 대화에 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의 대화 제의로 잠시 주춤했던 북한의 긴장고조 행보도 재개될 가능성이 커졌다. 북한은 한국 정부가 대북 대화를 제의한 11일 이후 무력도발을 직접 언급하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원산과 함경남도 지역의 노동·스커드 이동식 미사일 발사 차량(TEL) 다수가 11일부터 은폐와 노출 행동을 하지 않고 배치된 장소에 고정돼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화 제의에 대한 남북 간 반응이 충돌하면서 북한이 미사일 발사 준비 움직임을 재개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장용석 서울대 평화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금 상황에서는 북한이 미사일 발사 준비를 접을 명분이 없다”며 “김정은이 그간 이어온 위협적인 언사를 해왔고 ‘결단력 있는 지도자’라는 선전에 갇힐 수 있는 만큼 미사일 발사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고 지적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