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호 오염 원인은 광석찌꺼기와 인근 토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안동댐 건설로 만들어진 안동시의 인공 호수 안동호의 중금속 오염 원인이 광석찌꺼기와 인근 토양인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17일 환경과학수기법을 이용한 첫 사례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전까지 안동호 중금속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광석찌꺼기만 꼽혔다. 석광설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연구과장은 “중금속 동위원소를 이용해 오염물질의 발생원을 추적한 결과 안동호 오염 기여도의 79%는 주변 폐광에서 유입된 광석찌꺼기, 나머지 21%는 인근 토양의 오염 물질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환경 분쟁 문제 해결을 위해 환경과학수사기법을 적극 도입하기로 했다. 향후 5년간 진행할 ‘중금속 동위원소를 이용한 오염물질 발생원 추적 연구’가 주요 수사 방법이다. 이 기법은 납 등 중금속이 지각의 성질에 따라 동위원소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해 원산지를 구별하는 방법을 활용해 오염원을 추적한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중국 등으로부터 오는 장거리이동 오염물질 관리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기 중 납 오염원 규명에도 환경수사기법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17일 환경과학수기법을 이용한 첫 사례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전까지 안동호 중금속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광석찌꺼기만 꼽혔다. 석광설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연구과장은 “중금속 동위원소를 이용해 오염물질의 발생원을 추적한 결과 안동호 오염 기여도의 79%는 주변 폐광에서 유입된 광석찌꺼기, 나머지 21%는 인근 토양의 오염 물질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환경 분쟁 문제 해결을 위해 환경과학수사기법을 적극 도입하기로 했다. 향후 5년간 진행할 ‘중금속 동위원소를 이용한 오염물질 발생원 추적 연구’가 주요 수사 방법이다. 이 기법은 납 등 중금속이 지각의 성질에 따라 동위원소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해 원산지를 구별하는 방법을 활용해 오염원을 추적한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중국 등으로부터 오는 장거리이동 오염물질 관리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기 중 납 오염원 규명에도 환경수사기법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