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최대 무허가 판자촌인 구룡마을 개발 방식을 놓고 벌어진 서울시와 관할구청인 강남구와의 갈등이 주민들 간 싸움으로 번지고 있다.

구룡마을 거주민 모임인 구룡마을 자치회는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는 일부 환지방식 개발을 구룡마을 주민을 위한 정책인 것처럼 호도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자치회는 “서울시가 일부 환지방식으로 개발 방식을 변경하면서 주민들을 상대로 아무런 사전 설명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강남구 개포동의 무허가 판자촌인 구룡마을은 1980년대 말부터 도심 개발에 밀려 오갈 데 없는 사람들로 형성됐다. 그동안 개발 방식을 놓고 서울시와 강남구 및 토지주 간 갈등 때문에 미뤄지다 2011년 4월 시의 발표로 공영개발이 확정됐다. 그러나 지난해 6월 시 도시계획위원회가 부지 개발 후 토지소유주에게 돈으로 보상하는 ‘수용·사용 방식’에 민영개발 방식으로 알려진 환지방식을 추가하면서 서울시와 강남구 간에 갈등이 시작됐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