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경영전문대학원] 새 비즈니스 모델에 주력
[건국대 경영전문대학원] 새 비즈니스 모델에 주력



[건국대 경영전문대학원] 새 비즈니스 모델에 주력

건국대 경영전문대학원(원장 장국현·사진)은 이공계 출신 최고경영자(CEO)를 배출하는 대표적인 관문으로 자리매김하는 게 목표다.

이공계 인력을 중심으로 기술경영에 특화한 ‘MOT(Management Of Technology) MBA’와 일반경영에 특화한 ‘TOP(Top Of your Profession) MBA’ 두 과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했다.

장국현 원장은 “최근 이공계 인력의 CEO 진출이 많아지면서 이들에 대한 기술경영교육과 일반경영교육 수요가 높아져 맞춤형 교육이 필요해졌다”며 “건국대를 중심으로 30분 이내 지역에 기술·경영 연구소가 집중되어 있고 대기업 본사가 많이 있는 지리적 장점과 건국대의 국제적 네트워크 활용을 극대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MOT MBA는 주간 과정으로 전통적 MBA 프로그램의 핵심 과목과 함께 기술혁신 이슈에 대한 강화된 교육을 제공한다. TOP MBA는 야간ㆍ주말 과정으로 주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다. 경영 전반과 기업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을 도출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지금까지 건국대 MBA 과정에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KT, 국민은행, SK건설 등 국내 유수 기업뿐 아니라 엠코, 모토로라, 캐논, 페어차일드, 코스트코, 사노피 파스퇴르, 오티스 등 해외 기업들의 전ㆍ현직 우수 직원들이 참여했다. 전문가들은 기업의 실무 문제에 대한 ‘현장형 결과물’을 만들어내도록 가르치는 것을 건국대 MBA의 강점으로 꼽는다.

학생들은 3~4학기 두 학기에 걸쳐 신제품 개발,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는 팀 프로젝트를 통해 결과물을 내놓는다. 교수진은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교수진(총 38명)과 현직 기업체 등 기관 재직 산학 겸임 교수진(총 11명)이 참여한다. 건국대는 7명의 교수진을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산·학·연 협력 일체형 교육’은 건국대가 지향하는 현장 중심 교육의 핵심이다. 미국 실리콘밸리 비즈니스 네트워크와 한국 비즈니스 네트워크가 연계한 ‘뉴 실크로드 포럼’이 대표적이다. 건국대 MBA는 업무협약 기관을 12개로 늘리고 실리콘밸리 지역 비즈니스 협회와의 협력 관계를 구축 중이다.

건국대 MBA는 해외 대학 MBA와의 교류를 통해 국제적 전문가의 자문을 얻고 있다. 건국대 ‘밀러MOT스쿨’ 명예원장 윌리엄 밀러 교수는 스탠퍼드대의 프로그램을 반영한 교과과정 개발에 참여했다.

일본 와세다대와 대만 칭화대, 중국 자오퉁대 등 협력 대학들과도 글로벌 연계교육을 실시하거나 추진 중이다.

2013학년도 후기 신입생은 5월20일부터 두 차례에 걸쳐 모집한다. △1차 6월7일 오후 5시까지 △2차 6월24일부터 7월5일 오후 5시까지다. 문의는 전화(02-450-0505)와 홈페이지(mba.konkuk.ac.kr)로 하면 된다.

홍선표 기자 rick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