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투자지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www.tesat.or.kr
문제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주가순자산비율’을 말한다. 1배 미만이면 주가가 기업의 청산가치에도 못 미친다는 것을 뜻하는 이 투자지표는?
(1)PBR (2) PER (3) ROA (4) ROE (5) EBITDA
해설 주식에 투자할 때 어떤 회사의 주가가 고평가 또는 저평가됐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투자지표로는 PBR과 PER 등이 있다. PBR(Price on Book-value Ratio)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주가순자산비율 혹은 주가순자산배율이라고 한다.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순자산이 남는데, 순자산을 발행주식 수로 나누면 주당순자산가치(BPS·Book-value Per Share)다. 주가를 BPS로 나누면 PBR이 된다. 이는 주가가 1주당 순자산가치의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PBR이 1이면 주가가 1주당 자산가치와 같다는 의미다. 따라서 1보다 크면 고평가, 1보다 작으면 주가가 자산가치보다 낮다는 의미로 저평가됐다고 해석한다. PER(Price on Earning Ratio)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주가수익률 또는 주가순익배율이라고 한다. 주가가 EPS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PER이 높으면 수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EPS는 순이익을 발행주식 수로 나눠 구한다.
정답 (1)
(1)PBR (2) PER (3) ROA (4) ROE (5) EBITDA
해설 주식에 투자할 때 어떤 회사의 주가가 고평가 또는 저평가됐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투자지표로는 PBR과 PER 등이 있다. PBR(Price on Book-value Ratio)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주가순자산비율 혹은 주가순자산배율이라고 한다.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순자산이 남는데, 순자산을 발행주식 수로 나누면 주당순자산가치(BPS·Book-value Per Share)다. 주가를 BPS로 나누면 PBR이 된다. 이는 주가가 1주당 순자산가치의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PBR이 1이면 주가가 1주당 자산가치와 같다는 의미다. 따라서 1보다 크면 고평가, 1보다 작으면 주가가 자산가치보다 낮다는 의미로 저평가됐다고 해석한다. PER(Price on Earning Ratio)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주가수익률 또는 주가순익배율이라고 한다. 주가가 EPS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PER이 높으면 수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EPS는 순이익을 발행주식 수로 나눠 구한다.
정답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