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후폭풍' 쓰디쓴 민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위기의 범주류 全大 단일화…"재·보선 결과, 국민 최후통첩"
이용섭·강기정 손 잡아…"安과 무한경쟁 돌입"
이용섭·강기정 손 잡아…"安과 무한경쟁 돌입"
4·24 재·보선에서 참패한 민주통합당이 후폭풍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국회의원과 기초단체장 한 곳도 건지지 못해 ‘불임정당’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쓰면서 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겉으로는 안철수 무소속 의원에게 축하를 건네며 협력을 다짐하고 있지만 안 의원 측이 신당 창당 등을 포함한 세력화에 나설까봐 우려하는 시선들이 적지 않다.
당 지도부 교체가 이뤄지는 내달 4일 전당대회를 불과 9일 앞두고 범주류로 분류되는 이용섭·강기정 후보가 비주류 측 좌장인 김한길 후보에 맞서 단일화를 선언했다. 두 후보는 민주당 대의원 300~500명가량을 배심원단으로 뽑아 오는 28일 양자 토론회를 실시한 뒤 투표로 단일 후보를 선출할 계획이다.
두 후보가 이 같은 단일화에 전격 합의한 데는 재·보선 결과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당 안팎에서 분석한다. 이 후보는 25일 기자회견에서 “이번 재·보선 결과는 국민이 민주당에 보내는 최후 통첩”이라며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 민주당을 재건하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데 서로 공감하고 어제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강 후보도 “안 의원과 민주당은 이제 무한경쟁에 돌입했다”며 “내년 지방선거까지는 불가피하게 양측이 사활을 건 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안 의원과 정국 주도권 경쟁을 해야 하는 지도부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당 대표의 권한을 크게 강화할 방침이다. 비상대책위원회 산하 전당대회준비위원회는 이날 오후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은 비대위와 당무위를 거쳐 내달 4일 전대에서 확정된다.
개정안에 따르면 당의 권력체제를 현행 최고위 중심의 집단 지도체제에서 당 대표 중심의 단일 지도체제로 변경한다. 즉 당직과 예산을 최고위가 심의하되 최종 결정권은 당 대표가 갖도록 했다. 그동안 집단 지도체제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돼온 ‘계파 나눠먹기’ 폐해를 해소하고 내부 결속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중도 색채를 보완해 안 의원 측 지지 세력을 끌어안겠다던 당초 비대위의 구상에도 후퇴 조짐이 드러나고 있다. 전준위 산하 강령·정책분과위는 기존 강령·정책(전문) 개정안 초안에서 삭제됐던 ‘보편적 복지’와 ‘통일’이라는 문구를 원상복구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당내 486·주류 그룹을 중심으로 ‘우(右)클릭’에 대한 비판이 나오면서 당의 노선 갈등이 격화됐기 때문이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당 지도부 교체가 이뤄지는 내달 4일 전당대회를 불과 9일 앞두고 범주류로 분류되는 이용섭·강기정 후보가 비주류 측 좌장인 김한길 후보에 맞서 단일화를 선언했다. 두 후보는 민주당 대의원 300~500명가량을 배심원단으로 뽑아 오는 28일 양자 토론회를 실시한 뒤 투표로 단일 후보를 선출할 계획이다.
두 후보가 이 같은 단일화에 전격 합의한 데는 재·보선 결과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당 안팎에서 분석한다. 이 후보는 25일 기자회견에서 “이번 재·보선 결과는 국민이 민주당에 보내는 최후 통첩”이라며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 민주당을 재건하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데 서로 공감하고 어제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강 후보도 “안 의원과 민주당은 이제 무한경쟁에 돌입했다”며 “내년 지방선거까지는 불가피하게 양측이 사활을 건 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안 의원과 정국 주도권 경쟁을 해야 하는 지도부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당 대표의 권한을 크게 강화할 방침이다. 비상대책위원회 산하 전당대회준비위원회는 이날 오후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은 비대위와 당무위를 거쳐 내달 4일 전대에서 확정된다.
개정안에 따르면 당의 권력체제를 현행 최고위 중심의 집단 지도체제에서 당 대표 중심의 단일 지도체제로 변경한다. 즉 당직과 예산을 최고위가 심의하되 최종 결정권은 당 대표가 갖도록 했다. 그동안 집단 지도체제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돼온 ‘계파 나눠먹기’ 폐해를 해소하고 내부 결속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중도 색채를 보완해 안 의원 측 지지 세력을 끌어안겠다던 당초 비대위의 구상에도 후퇴 조짐이 드러나고 있다. 전준위 산하 강령·정책분과위는 기존 강령·정책(전문) 개정안 초안에서 삭제됐던 ‘보편적 복지’와 ‘통일’이라는 문구를 원상복구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당내 486·주류 그룹을 중심으로 ‘우(右)클릭’에 대한 비판이 나오면서 당의 노선 갈등이 격화됐기 때문이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